전체 글3588 평생 잊지못할 야생화 <닻꽃 본적 있어 ?> 특정야생화 단 하나를 보기위해서 먼 길 마다하지 않고 다녀올 때도 많이 있답니다. 물른 그럴 때는 고생도 따르지요 장시간의 운전이나 또는 험한 산행을 오랜 시간 각오하지 않으면 볼 수 없는 야생화들이 있기 때문인데요, 어떤 때는 단 하나의 희미한 정보만을.. 2009. 6. 15. 야생의 맛 <다래> 다래나무는 참 많죠 어디가더라도 쉽게 볼 수 있는 나문데 그반면에 오히려 열매 보기는 또 쉽지가 않습니다. 이번 산행에서 우연찮게 끝물 남은 다래열매가 있어 몇개 따보았습니다. 물른 산새들의 먹거리는 남겨두구요 <백당나무> 백당나무 열매맛은 시큼하기만 하고 맛은 없습니다... 2009. 6. 15. 일본에서 본 세계의 식충식물 식충식물 시리즈입니다. 국내에 자생하는 종류가 아니지만 엄연한 식충식물들입니다. 개인적으로 2005년도에 일본 동경 진대식물원과 동경 유메노시마 열대식물원에서 촬영한 것들입니다. 마침 방문했을때 두곳모두 식충식물 전시회를 하고 있어 좋은 경험이 되었답니다. 사진들은 전시된 식충식물.. 2009. 6. 15. 한국의 가시연꽃과 일본의 큰귀신연 개병풍이 육지에서 가장큰 잎을 가진 식물이라면 '가시연꽃'은 습지와 육지를 통틀어서 가장큰 잎을 가진 종류입니다. 아마도 이보다 더 큰잎을 가진 식물은 없을겁니다. <가시연꽃> 온통 가시 투성이입니다. 잎뒷면도 모두 가시랍니다. 실제 손톱이 가시에 찔려 며칠동안 욱신거렸을 정도입니다... 2009. 6. 15. 개병풍/병풍쌈/어리병풍의 구분 <개병풍> 범의귀과 '개병풍'입니다. 깊은 강원도 골짝에서나 볼 수 있는 종류인데요 드문드문 볼 수 있는 개체들에 비해 이렇게 한 군데서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장면을 보기란 쉬운 일이 아니죠 처음 이 장면을 보고서는 정말 깜짝 놀랐답니다. <개병풍> 개병풍은 우리나라 육지.. 2009. 6. 15. 일본의 놀라운 국화 <일본의 뿌리하나에 수많은 꽃이 달리는 국화품종> 일본의 식물 육종기술과 품종 개량 능력은 세계적으로도 우수합니다. 참으로 기막힌 그들의 기술을 보노라면 혀를 내두르게 합니다. 현재 우리가 가로수에 사용하고 있는 수많은 수종들이 일본에서 들여온 작품(?)들이랍니다. 공짜는 없습니다. .. 2009. 6. 15. 기생꽃 이름의 유래 기생꽃은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드물게 볼 수 있는데요 지리산의 특정지역과 그리고 가야산이나 설악산의 일부에서만 자라는 식물입니다. 기생꽃과 참기생꽃 두종류가 국내에선 자랍니다. <기생꽃> 기생꽃 이름의 유래는 꽃잎의 순백색이 마치 일본 .. 2009. 6. 15. 생명의 숲 2월 연재-안테나를 가진 복수초 2009. 6. 15. 노련한 삶의 지혜자들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바람꽃'입니다. 꿩+바람꽃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름인데요 그나름대로의 의미가 적절하게 부여된 야생화가 아닌가 싶습니다. 꽃잎처럼 보이는 건 꽃잎이 아니라 꽃받침이랍니다. 바람꽃, 너도바람꽃이나 나도바람꽃이나 또는 변산바람꽃 모두 꽃잎처럼 보이는 건 모두 꽃받침.. 2009. 6. 15. 만주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 '만주바람꽃'입니다. 얼마전 까지만 해도 윗동네에서만 볼 수 있는 종류였지만 요즘은 따뜻한 남녁에서도 발견되어 남녁 동포들에게 나름 즐거움을 안겨주는 야생화랍니다. 만주라는 지명이 꽃이름에 붙었는데요 바로 만주 지역에서 이식물을 처음 발견하고 기록한데서 이름이 연유.. 2009. 6. 15. 새끼 낳는 나무 맹그로브 태생식물 [胎生植物] 의 사전적 정의는 "열매가 익은 후에도 한동안 모체 내에 머물러 거기서 종자가 발아하고 뿌리가 나서 떨어져 번식하는 식물 " 쉽게 말해 열매를 땅에 떨어 뜨리지 않고 자기 몸에서 키운뒤 싹이 돋고 어느 정도 자라면 그제서야 나무에서 떨어져 지상에서 자라는 식물을 말합니다.. 2009. 6. 15. 각시붓꽃/난장이붓꽃/솔붓꽃의 구분 2009. 6. 15. 이전 1 ··· 288 289 290 291 292 293 294 ··· 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