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8

일본 야생화 엄청난 군락 '쥰 구루마' 일본말로 '쥰 구루마'라고 합니다. 열매의 모습이 마치 아이들 장난감인 풍차와 닮았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랍니다. 백두산에 자라는 담자리꽃나무와 닮았지만 잎에서 차이가 납니다. 참고로 담자리꽃나무는 일본말로 '쮸우노 스께 소우'라고 합니다. 우리가 갔을때가 아마도 가장 절정기가 아니였.. 2009. 6. 19.
일본 야생화 암벽에 피어난 거울 같은꽃 '고이와 카가미' 소암경 小岩鏡이라 불리는 '고이와 카가미'입니다. 이와 비슷한 종류는 '이와 우찌와' 그리고 '이와 카가미' 대암경이라 불리는 '오오이와 카가미'가 있습니다. 소암경과 대암경의 구분은 잎과 꽃크기 차이점입니다. 끝물이라 다양한 종류를 관찰하지 못했든게 좀 아쉽습니다. 꽃의 모습이 마치 거울을.. 2009. 6. 19.
일본 야생화 꼭 기억해야할 야생화 '고마쿠사' 일본의 도감에서도 고산식물의 여왕이라는 찬사를 붙혀 놨습니다. 바로 '고마쿠사'(구초 駒草)입니다. 이름 그대로 망아지 머리 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죠 한국에서는 '성주풀'이라고 원예용으로 키우는 식물과 많이 흡사한데요 야생의 금낭화도 이와 닮았지만 사실 생태적인 모습은 차이.. 2009. 6. 19.
가장 많이 보았던 야생화 '고젠 다찌바나' 산행 입구에서 부터 능선 봉우리까지 가장 많이 보았던 야생화입니다 '고젠 다찌바나' 입니다. 어전교(御前橋)라 부르는데 뭔뜻인지는 잘모르겠습니다. 하여튼 고도차로 따지면 가장 흔한 야생화가 아닌가 싶습니다. 도쿠사와에서 부터 북알프스 전능선에서 보았으니 말입니다. 오히려 너무 많아서 .. 2009. 6. 19.
북알프스의 고산 돌꽃 '이와 벤께이' 돌꽃 종류입니다. 꽃은 모두 지고 붉은 열매를 단 모습입니다. '이와 벤께이'라고 하는 일본에서도 고산지대에 자라는 종류랍니다. 의외로 많이 본듯 하지만 실제로 야리까다께 가기전이나 스고로꾸 넘어가기전의 암벽에서 보았지 그리 전구간에 걸쳐서 많이 자랐던 종류는 아니였습니다. 그리고 이.. 2009. 6. 19.
한화콘도리조트 회원분양상담 해운대한화리조트 경주한화리조트 백암한화리조트 제주한화리조트 지리산한화리조트 대천한화리조트 수안보한화리조트 산정호수한화리조트 용인한화리조트 양평한화리조트 설악한화리조트 한화리조트 평창 휘닉스파크 트 대천 한화리조트 산정호수 한화리조트 설악한화리조트 수안보 한화리조.. 2009. 6. 19.
지리터리풀 7월경 지리터리풀은 산행하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모습으로 다가옵니다. 색이 붉은색이라 특징적인데요 헷갈리는 "붉은터리풀"이 있기는 하지만 지리산이 아니라 북부고산에만 자라는 녀석이라 같이 출현해서 머리아프게 할 여지는 없을듯합니다. 지리산 안가면 못보는 식물 "지리터리풀"입니다. .. 2009. 6. 19.
닭의난초 꽃무늬가 붉은빛이 도는 난초과 '닯의난초'입니다. 2009. 6. 19.
창포 천남성과 '창포'입니다. 흔히 붓꽃이나 꽃창포하고 헷갈리지만 이게 바로 창포의 꽃입니다. 붓꽃은 이름 그대로 흔히 아이리스라고 하는 아름다운 식물이지만 창포는 천남성과 식물로서 꽃이 핫도그 마냥 심심하게 피지요 요즘은 창포 보기가 매우 힘듭니다. 습지에서 자라는데 그 습지가 모두 파괴.. 2009. 6. 19.
먹이 먹은 살모사 숲속에서 귀여운(?) 이놈을 만났습니다. 아마도 무언가를 꿀꺽한 상태인듯 싶네요 사람 발자국 소리가 들리니 얼마나 도망가든지 하여튼 동작하나 빨랐습니다. 흔히 살모사라고 부르죠 2009. 6. 19.
노각나무 차나무과 '노각나무'입니다. 우리나라 특산식물로서 꽃이 아주 이쁩니다. 수피의 알록달록한 모습이 마치 백로의 다리를 닮았다고해서 노각나무이구요 가을철 단풍도 무척 아름다운 우리 고유 수종입니다. 2009. 6. 19.
가지더부살이 열당과 '가지더부살이'입니다. 매우 드물게 볼 수 있는 기생식물이랍니다. 마치 버섯같이 생겼지만 버섯과는 다르게 광합성과 열매를 맺는 엄연한 식물입니다. 2009.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