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1379 북알프스야생화 신비한 생명력의 소유자 '온타데' '온타데'입니다. オンタデ(御蓼) 어삼이라고 부르는데요 우라지로타데의 변종입니다. 고산의 강한 바람을 견디기 위해 키가 낮게 자란 형태입니다. 우라지로타데 같은 경우에는 능선의 사면에 많이 자라는데요 온타데는 바로 능선에서 직접적으로 바람을 맞고 자라는 지형에 자랍니다. 우라지도타데 .. 2011. 1. 20. 얼음골 사과 따기 체험 밀양 산내면 임고리에 위치한 후배의 과수원으로 얼음골 사과따기 체험을 해보았습니다. 해마다 이때가 되면 산내면 일대는 얼음골 사과 따기로 북새통을 이루는데요 올해도 벌써 사과축제가 이어지면서 본격적인 얼음골 사과가 출하되기 시작했습니다. <아주 높은곳에 위치.. 2010. 11. 9. 향긋한 국화차의 재료 '산국' 요즘 흔히 피어나는 산국입니다. 국화차와 국화주의 재료가 되는게 바로 산국과 감국인데요 감국은 산국보다 꽃이 더 크고 단맛이 나는게 특징이랍니다. 2010. 10. 18. 들국화라 불리는 쑥부쟁이의 모습 쑥부쟁이의 모습입니다. 쑥부쟁이는 쑥을 캐러 다니는 불쟁이의 딸이 죽어서 된 꽃이라는 뜻이죠 대장장이의 딸이 사랑하는 귀족의 남자를 기다리다 결국 죽어서 동생들의 배고품을 덜어주기 위해 나물로 다시 태어났다는 전설을 가진 꽃이죠 개쑥부쟁이와 쑥부쟁이 두종류가 있는데요 뿌리옆에 돋.. 2010. 10. 18. 무슨 버섯 일까요 ? 버섯에 일가견이 있는분은 어게 어떤 종류인지 밝혀 주십시요 2010. 10. 18. 단풍든 마가목 모습 마이목 즉 말의 이빨과 닮았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입니다. 이른봄 돋아나는 새순의 모습이 마치 말의 고른 치열과 비슷해서 붙혀진 이름이죠 마이목이 발음상 마가목으로 바뀌어 부르게 되었죠 올핸 유낙히 해걸이가 심한가 봅니다. 설악산에도 지리산에도 마가목 열매 보기가 참 힘드군요 2010. 10. 18. 드물게 볼 수 있는 기생식물 '야고' 저멀리 섬나라 제주도에서 찍.....................은게 아니라 한양까정 올라가서 뜬금없이 만나고 온 야고입니다. 야고는 열당과의 1년생 기생식물인데요 억새 또는 생강에 기생하는 식물인데 주로 억새밭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유일한 식물인데요 몇해전 서울 모처에 제주도에서.. 2010. 9. 28. 한국의 독사 종류 , 가을 독사 구경하기 가을입니다. 이제부터 숲속 곳곳에 동면을 하기위한 독사들이 가장 민감한 시기들입니다. 많이 먹어야 하고 또 컨디션을 최고조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죠 이때 독이 빠짝 오릅니다. 독사 종류를 좀 열거해 볼텐데요... 틀린건 지적해주면 고맙겠습니다. 불독사라 흔히 부르는 '쇠살모사'는 색이 좀 붉으며 반점이 엷고 가는게 특징입니다. 까치독사라 불리는 '살모사'는 검은 반점이 짙고 동글동글 타원형입니다. 까치살모사라 불리는 '칠점사'는 머리부분에 7개 남짓 점이 있고 동그란 테두리가 길게 이어진 무늬입니다. 흔히 일곱 걸음을 떼지 못하고 죽는다고 해서 칠점사라 할 정도로 가장 맹독을 자랑하는 종류입니다. 불독사라 불리는 '쇠살모사'입니다. 테두리의 반점이 흐릿하고 몸색은 다소 붉은빛을 띕니다. 성격이 다소 온순.. 2010. 9. 13. 벌써 물들기 시작한 금마타리 금마타리입니다. 6월경 꽃이 피는데요 고산지대에서는 다소 흔하게 볼 수 있는 종류랍니다. 패장이라고 하여 뿌리에서 된장 썩는 냄새로 유명하죠 2010. 9. 7. 한국과 일본의 '투구꽃' 이름의 내역 <지리산 투구꽃> 투구꽃은 산야에서 피어나는 가을꽃의 대표격입니다. 물른 산아래에서 피어나는 구절초나 쑥부쟁이에 비할바는 아니겠지만 역시 가을에 이 투구꽃을 빼고서는 이야기 할 수 없을겁니다. 종류도 무척 많은데요 뭐 일일이 열거하기에도 벅찰 정도 입니다. 사실 초보자들 한테는 모.. 2010. 9. 7. 가을! 그 치명적인 유혹 '투구꽃' 투구꽃이 설악산에 가니 벌써 피었습니다. 산아래쪽은 10월경 되면 절정으로 피어날 시기인데요 고산지대 답게 빨리도 피었습니다. 투구꽃은 가을에 피어나는 가을 야생화의 대명사죠 그 뿌리가 사약의 재료로 이용될만큼 치명적인 독을 품고 있지만 꽃은 이쁘기 그지없습니다. 투구꽃 이름에 대한 .. 2010. 9. 7. 미역맛이 나는 미역취 미역취입니다. 이름 그대로 봄에 돋아나는 순에서 미역맛이 난답니다. 요즘 꽃이 한창 필때가 되었습니다. 2010. 9. 7. 이전 1 ··· 69 70 71 72 73 74 75 ··· 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