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1379 등대같은 불빛을 느껴지는 '등대시호' 설악산의 공룡능선 곳곳에서 볼 수 있었는데요 산형과 '등대시호'입니다. 매우 희귀한 야생화중 하나이지요 남덕유산의 암벽등지나 설악산의 암벽에 붙어 자라는 종류랍니다. 시호 종류는 몇종류 되지 않습니다. 시호.개시호.등대시호.섬시호 그리고 백두산에 자라는 참시호가 있습니다. 꽃모양이 마.. 2010. 9. 7. 설악산 바위틈에서 볼 수 있는 '금강봄맞이꽃' 5월경 설악산 공룡능선에서 볼 수 있는 금강봄맞이입니다. 고산지대의 바위틈속에서 자라는 탓에 그 자태를 구경하기란 여간한게 아닙니다. 예전에 끝물 한개체를 감상한게 전부인데요 아직 시기를 맞추지 못해 제대로된 금강봄맞이꽃을 본적이 없을 정도입니다. 꽃 필 시기에 설악산 그것도 공룡능.. 2010. 9. 7. 설악산에서 보는 '한라부추' 백합과 '한라부추'입니다. 부추 종류는 매우 많습니다. 그중 한라부추,산부추.참산부추가 대표적으로 우리 산야에서 많이 보는 종류들입니다. 요즘은 두메부추나 돌부추등도 많이 소개되기도 하지만 역시나 우리 산야에서는 위의 3종류가 가을에 만나는 대표격이라 하겠습니다. 한라부추는 한라산에.. 2010. 9. 7. 용의 쓸개처럼 쓰다는 하는 '과남풀' <바위떡풀과 함께 자라는 과남풀> 용담중에서 좀더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종류인 '과남풀'입니다. 예전에는 큰용담 또는 칼잎용담으로 불렸지만 지금은 과남풀로 통합되었습니다. 과남풀은 관음풀의 북한식 표현입니다. 관음보살이 주는 훌륭한 약재라는 뜻인데요 용담은 매우 씁지만 여러모로 .. 2010. 9. 7. 설악산에서 보는 '금강분취' 국화과 '금강분취'입니다. 앞전에는 '긴잎금강분취'라 불렀지만 지금은 금강분취로 통합되었습니다. 금강분취는 잎이 하트 모양처럼 생겼는데요 긴잎금강분취는 이름그대로 잎이 다소 길쭉하면서 거치가 좀더 날카로운게 특징입니다. 분취는 잎이 분을 바른듯 희기때문에 붙혀진 이름인데요 아주 많.. 2010. 9. 7. 설악산에 아스라히 자라는 멸종위기식물 '눈측백나무' 설악산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향나무과의 나무 '눈측백나무'입니다. 눈은 눕다,누운의 뜻입니다.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눈잣나무,눈향나무,눈측백나무는 이제 거의 멸종위기종이 되었습니다. 인위적인 훼손에 의한것보다 자연적인 지구온난화때문이랍니다. 사진은 마등령 인근에 형성된 눈측백나무 .. 2010. 9. 7. 설악산 공룡능선에서 본 금강초롱 우리꽃의 자존심이라 불릴만한 '금강초롱'입니다.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혀진 이름입니다. 화방초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이건 일제의 잔재이기도 합니다. 화방 즉 일본어로 하나부사야라는 뜻인데요 바로 조선총독부 초대 총독이 바로 '하나부사야'입니다. 일본인 식물학자 나카이가 아부하.. 2010. 9. 6. 설악산에서 본 가을 들국화의 대명사 '개쑥부쟁이' 가을의 대표적 야생화입니다. 바로 '개쑥부쟁이'랍니다. 쑥부쟁이와 혼동하기도 하지만 쑥부쟁이는 논두렁 밭두렁등 저지대에서 사람과 함께 친숙하게 자라는 종류지만 개쑥부쟁이는 산속의 건조한 풀밭등지에서 볼 수 있답니다. 근생엽이라고 하는데요 뿌리 근처에서 돋는잎을 말합니다. 쑥부쟁이.. 2010. 9. 6. 자연산 영지버섯 모습 비 쫄딱 맞았습니다. 얼마전 가야산가서 그렇게 흠벅 맞았는데 이번주에도 산에가서는 물에 빠진 생쥐꼴 다되서 돌아왔습니다. 올해는 비도비도 어지간히 오네요 산행하면서 우연히 만난 영지버섯과 능이버섯 모습입니다. 영지버섯은 보기가 좀처럼 힘들죠 썩은 나무에 붙어 자라는 버섯이 있고 이.. 2010. 8. 29. 향이 백리까지 간다는 백리향 꿀풀과 '백리향'입니다. 향이 백리까지 간다고해서 백리향이지요 야생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귀한 야생화랍니다. 2010. 8. 18. 고산지대에서 보는 갈퀴나물 '두메갈퀴' 꼭두서니과 갈퀴나물은 무척 많습니다. 그중 '두메갈퀴'는 고산지대의 습한장소에서 자라는 종류랍니다. 어두운곳에 있어 찍기도 참 불편할 정도죠 꽃이 아주 작답니다. 2010. 7. 16. 꽃잎이 아니랍니다. 헛꽃을 다는 '백당나무' 백당나무의 헛꽃입니다. 즉 가짜꽃이지요 헛꽃을 피워 벌레나 곤충들을 불러모은답니다. 정작 꽃은 암술고 수술로만 이루어져 있답니다. 어수리나 백당나무 그리고 산수국이 대표적으로 헛꽃을 다는 종류랍니다. 2010. 7. 16. 이전 1 ··· 70 71 72 73 74 75 76 ··· 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