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88

요즘 지리산에서 나는 악취의 주범 작년에도 이맘때 제가 글을 올린 적이 있는데요 지금도 한 번씩 이러한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 가끔 계십니다. 이제부터 슬슬 향기가 풍겨나오는게 딱 지금이 아닐지 싶네요 혹자는 지각없는 산꾼들의 흔적이다..또는 산짐승의 흔적이다 뭐...등등 말이 참 많습니다만.. <금마타리> 요즘 지리산 고.. 2009. 9. 4.
한국과 일본의 '투구꽃' 이름의 내역 <지리산 투구꽃> 투구꽃은 산야에서 피어나는 가을꽃의 대표격입니다. 물른 산아래에서 피어나는 구절초나 쑥부쟁이에 비할바는 아니겠지만 역시 가을에 이 투구꽃을 빼고서는 이야기 할 수 없을겁니다. 종류도 무척 많은데요 뭐 일일이 열거하기에도 벅찰 정도 입니다. 사실 초보자들 한테는 모.. 2009. 9. 4.
아주 조그만한 식충식물의 세계입니다. 뿌리에서 포충낭을 만들어 물벼룩등을 잡아먹는 식충식물입니다 '이삭귀개'인데요 아주 작은 식물이랍니다. <이삭귀개> 이삭귀개는 산지의 습지에서 자란답니다. 그 크기가 쌀알의 크기보다 더작은 식물입니다. <이삭귀개> 이삭귀개와 더불어 같이 잘사는 식충식물 '땅귀개'입.. 2009. 9. 4.
요즘 산에가면 볼 수 있는 열매 '함박꽃나무' 산목련 즉 '함박꽃나무'의 열매 모습입니다. 대게 목련과 식물은 저런식을 열매를 맺는답니다 요즘 한창 열매 맺을 시기입니다. 2009. 9. 4.
지리산에서 이제 피기 시작한 '지리바꽃' 투구꽃 종류중 '지리바꽃'입니다. 물른 무서운 독초입니다. 지리산에서 발견되어 지리바꽃이라 하지만 실제론 강원도 등지의 산야에서도 볼 수 있답니다. 지리바꽃은 골돌(열매의 형태)이 5개지요 일반 투구꽃은 3개랍니다. 어째튼 사약의 재료로 이용되는 아주 무서운 독초입니다 2009. 9. 4.
전라도 백양사에서 발견되어 이름도 '백양꽃' 수선화과 '백양꽃'입니다. 특산식물이라는 말도 있지만 일본에서도 백양꽃이 발견되어 특산식물은 아닌것으로 판명되었답니다. 전남 백양사에서 많이 발견되어 백양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답니다. 흔히 상사화라고 말하지만 중국에서 들여와 사찰에 흔히 심는 상사화와는 구분됩니다. 수선화과 식물.. 2009. 9. 4.
배롱나무 이후부터 가을/겨울로 넘어갑니다. 배롱나무 이후부터 가을/겨울로 넘어갑니다. 2009. 9. 4.
구절초와 쑥부쟁이 구분법 "쑥부쟁이와 구절초를 구별하지 못하는 너하고 이 들길 여태 걸어왔다니 나여, 나는 지금부터 너하고 絶交다!" 안도현 시인의 '무식한놈'이라는 시입니다. 쑥부쟁이하고 구절초 구분못하면 때론 곤경(?)에 처해질지도 모를입니다. 쑥부쟁이와 구절초에 대한 구분법을 간단하게 올려드리니 참고하시어 .. 2009. 9. 4.
천연 물질이 듬뿍 들어간 야생과일 모음 <야생 머루> 결실의 계절이다. 곡식이 익고 산과 들의 야생과일들이 제철로 익어가는 시기다. 지금이야 수박이며 참외 그리고 사과나 배등이 철없이 수확되는 시기이니 구태여 제철 과일 따져가며 들이댈 이유야 없겠지만 현대의 과학기술이 전혀 용인되지 않는 야생에서 열리는 과.. 2009. 9. 2.
멸종위기종 물장군의 최후 국내에서 '물장군'은 멸종위기종 2급으로 분류된 보호야생곤충입니다. 하지만 태국에 가니 물장군을 저렇케 튀기고 조리고 하더군요 평소 곤충애가 남다른분들은 눈이 튀어 나올수도 있겠지만 우리나라가 아니니 안심하시기 바랍니다. 이거는 뱀고기입니다. 생긴게 비슷해서 물어봤더니 스네이크 밋.. 2009. 9. 2.
홀로가는 태국 배낭여행기-정글속으로 2 <고무줄 놀이하는 아이들> 열대 지방이라 그런지 그들의 아침은 늦은편이었다. 새벽같이 별을 보며 하루 일과를 시작하는 우리네 농촌의 일상과는 사뭇 달랐다. 닭이 중천에 뜨오른 태양을 보며 훼를 쳐도 이사람들 아직까지도 자고 있는것 같았다. 논과 밭이 그다지 많은 편이 아닌.. 2009. 9. 1.
홀로가는 태국 배낭여행기-정글속으로 <정글 트레킹중> 치앙마이! 태국 북부에 있는 도시이며 주위로 산악으로 둘러싸여진 천혜의 고대 도시다. 작년 캄보디아를 떠나면서 꼭 오고 싶었던 도시다. 다른 이유는 없었다. 다만 이곳에 오면 정글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여러 모험적 발심을 자극할 수 있는 모티브들이 많다는 .. 2009.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