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88

놓칠 수 없는 야생화 '미야마 꼬우조리나' 일본 특산식물입니다. '미야마 꼬우조리나'입니다. 씀바귀 종류를 일본말로 '꼬우조리나'라고 부릅니다,. 고산씀바귀라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우연히 스쳐 지나가면서 찍었던 야생화랍니다. 일본 특산식물이라 한국에서 볼 수 없는 야생화지요 2009. 8. 25.
미역취가 아닙니다 '꼬가에 기꾸' 저는 미역취라고 생각했는데요 미역취가 아니라 고산에서 자라는 황금국이라 불리는 '꼬가에 기꾸'입니다. 의외로 드물게 볼 수 있는 종류인데요 개화기가 거의 끝나 끝물을 찍었는데요 처음에는 미역취인줄 알고 사실 잘 찍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도감을 뒤져보니 '꼬가에 기꾸'라는 고산지대에 피.. 2009. 8. 25.
향기가 너무 뛰어났던 '이부끼 쟈꼬우 소우' 국내에서 자라는 섬백리향과 닮았다고 생각했는데 섬백리향과는 다른종입니다. '이부끼 쟈꼬우 소우'라고 합니다. 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 섬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이부끼 쟈꼬우 소우 Thymus serpyllum ssp.quinquecostatus f.ibukiensis 2009. 8. 25.
유일하게 본 제비꽃 '다까에 스미레' 일본 특산식물 '다까에 스미레'입니다. 제비꽃 종류를 스미레라고 하지요 아마도 제비꽃중 가장 늦게 개화하는 종류일듯 합니다. 국내에서 자라는 제비꽃중 '장백제비꽃'이 그중 가장 고산지대에 자라는 종류랍니다. 하지만 다까에 스미레는 장백제비꽃하고는 다른종입니다. 참고로 설악산과 백두산.. 2009. 8. 25.
찔레꽃은 붉게 피지 않는답니다. <찔레꽃>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나라 내고향 언덕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자주고름 입에 물고 눈물 흘리며 이별가를 불러주던 못잊을 사람아 -가수 백난아-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 나라 내 고향, 언덕 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가수 백난아가 부른 한국의 대표 트로트곡 '찔레꽃.. 2009. 8. 24.
무에타이 경기를 보다 태국 배낭여행 마지막날 무에타이 경기를 보느냐 아님 시암나르밋이라는 공연을 볼것이냐 두개를 두고 무척 망설였는데 결국 언제 또 무에타이 볼 기회가 있을까 싶어서 무에타이 경기를 볼 수있는 룸피니 복싱스타디움을 찾았다. 개인적으로 무에타이 같은 격투기 경기에 대한 동경심.. 2009. 8. 20.
직찍한 무에타이 경기 실제장면 룸비니 무에타이 경기장에 가서 찍은 실제장면입니다. 어설프게 하는게 아니라 정말 실감나게 하더군요 2009. 8. 20.
직찍한 무에타이 경기 실제 장면 여러 선수들중 가장 치열하게 싸웠던 선수들이 아닌가 싶습니다. 진짜 피터지게 하더군요 플라잉 니킥으로 외국선수가 토종 선수를 실신 시켜 버렸습니다. 2009. 8. 20.
직찍한 무에타이 경기전 와이클루 춤 무에타이 경기하기던 선수들의 와이클루춤 반주는 전통 악사들이 직접 라이브로 반주해준답니다. 방콕 룸피니 복싱스타디움에서 직찍한 장면입니다. 2009. 8. 20.
산청 엄천강에서 발견한 수달의 배설물 방곡리에서 수달의 배설물을 발견했습니다 그지역이면 아마 엄천강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주 물이 맑고 깨끗했습니다. 예전에 비해 물이 더욱더 좋아졌더군요 이곳 지역이 얼마나 깨끗하고 청정한지 알려주는 사례로 보입니다. 2009. 8. 19.
쇠살모사(불독사) 모습 2009. 8. 19.
1급수 지표 생물종 '꼬리치레도룡뇽'을 보다 꼬리치레도롱뇽의 영명은 '코리안 클로드 살라만다'[Korean clawed salamander] 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국에서 특히 많이 서식하는 아주 귀한종 이랍니다. 사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 색이 화려하고 돋보여 많은 사람들로 부터 관심을 가지기도 합니다. 1급수의 깨끗한 수질이 아니면 살 수 없는 .. 2009.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