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가을·겨울·나무149

향긋한 국화차의 재료 '산국' 요즘 흔히 피어나는 산국입니다. 국화차와 국화주의 재료가 되는게 바로 산국과 감국인데요 감국은 산국보다 꽃이 더 크고 단맛이 나는게 특징이랍니다. 2010. 10. 18.
들국화라 불리는 쑥부쟁이의 모습 쑥부쟁이의 모습입니다. 쑥부쟁이는 쑥을 캐러 다니는 불쟁이의 딸이 죽어서 된 꽃이라는 뜻이죠 대장장이의 딸이 사랑하는 귀족의 남자를 기다리다 결국 죽어서 동생들의 배고품을 덜어주기 위해 나물로 다시 태어났다는 전설을 가진 꽃이죠 개쑥부쟁이와 쑥부쟁이 두종류가 있는데요 뿌리옆에 돋.. 2010. 10. 18.
단풍든 마가목 모습 마이목 즉 말의 이빨과 닮았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입니다. 이른봄 돋아나는 새순의 모습이 마치 말의 고른 치열과 비슷해서 붙혀진 이름이죠 마이목이 발음상 마가목으로 바뀌어 부르게 되었죠 올핸 유낙히 해걸이가 심한가 봅니다. 설악산에도 지리산에도 마가목 열매 보기가 참 힘드군요 2010. 10. 18.
드물게 볼 수 있는 기생식물 '야고' 저멀리 섬나라 제주도에서 찍.....................은게 아니라 한양까정 올라가서 뜬금없이 만나고 온 야고입니다. 야고는 열당과의 1년생 기생식물인데요 억새 또는 생강에 기생하는 식물인데 주로 억새밭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유일한 식물인데요 몇해전 서울 모처에 제주도에서.. 2010. 9. 28.
벌써 물들기 시작한 금마타리 금마타리입니다. 6월경 꽃이 피는데요 고산지대에서는 다소 흔하게 볼 수 있는 종류랍니다. 패장이라고 하여 뿌리에서 된장 썩는 냄새로 유명하죠 2010. 9. 7.
한국과 일본의 '투구꽃' 이름의 내역 <지리산 투구꽃> 투구꽃은 산야에서 피어나는 가을꽃의 대표격입니다. 물른 산아래에서 피어나는 구절초나 쑥부쟁이에 비할바는 아니겠지만 역시 가을에 이 투구꽃을 빼고서는 이야기 할 수 없을겁니다. 종류도 무척 많은데요 뭐 일일이 열거하기에도 벅찰 정도 입니다. 사실 초보자들 한테는 모.. 2010. 9. 7.
가을! 그 치명적인 유혹 '투구꽃' 투구꽃이 설악산에 가니 벌써 피었습니다. 산아래쪽은 10월경 되면 절정으로 피어날 시기인데요 고산지대 답게 빨리도 피었습니다. 투구꽃은 가을에 피어나는 가을 야생화의 대명사죠 그 뿌리가 사약의 재료로 이용될만큼 치명적인 독을 품고 있지만 꽃은 이쁘기 그지없습니다. 투구꽃 이름에 대한 .. 2010. 9. 7.
미역맛이 나는 미역취 미역취입니다. 이름 그대로 봄에 돋아나는 순에서 미역맛이 난답니다. 요즘 꽃이 한창 필때가 되었습니다. 2010. 9. 7.
등대같은 불빛을 느껴지는 '등대시호' 설악산의 공룡능선 곳곳에서 볼 수 있었는데요 산형과 '등대시호'입니다. 매우 희귀한 야생화중 하나이지요 남덕유산의 암벽등지나 설악산의 암벽에 붙어 자라는 종류랍니다. 시호 종류는 몇종류 되지 않습니다. 시호.개시호.등대시호.섬시호 그리고 백두산에 자라는 참시호가 있습니다. 꽃모양이 마.. 2010. 9. 7.
설악산 바위틈에서 볼 수 있는 '금강봄맞이꽃' 5월경 설악산 공룡능선에서 볼 수 있는 금강봄맞이입니다. 고산지대의 바위틈속에서 자라는 탓에 그 자태를 구경하기란 여간한게 아닙니다. 예전에 끝물 한개체를 감상한게 전부인데요 아직 시기를 맞추지 못해 제대로된 금강봄맞이꽃을 본적이 없을 정도입니다. 꽃 필 시기에 설악산 그것도 공룡능.. 2010. 9. 7.
설악산에서 보는 '한라부추' 백합과 '한라부추'입니다. 부추 종류는 매우 많습니다. 그중 한라부추,산부추.참산부추가 대표적으로 우리 산야에서 많이 보는 종류들입니다. 요즘은 두메부추나 돌부추등도 많이 소개되기도 하지만 역시나 우리 산야에서는 위의 3종류가 가을에 만나는 대표격이라 하겠습니다. 한라부추는 한라산에.. 2010. 9. 7.
용의 쓸개처럼 쓰다는 하는 '과남풀' <바위떡풀과 함께 자라는 과남풀> 용담중에서 좀더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종류인 '과남풀'입니다. 예전에는 큰용담 또는 칼잎용담으로 불렸지만 지금은 과남풀로 통합되었습니다. 과남풀은 관음풀의 북한식 표현입니다. 관음보살이 주는 훌륭한 약재라는 뜻인데요 용담은 매우 씁지만 여러모로 .. 2010.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