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8

엉겁결에 올라버린 '황정산' 황정산.. 사실 어디에 있는지 조차도 몰랐고 그 이름 조차도 생소했던 산입니다. 소백산 인근에 있고 또 월악산도 가깝다는 이야기에 뜻모를 동경심에 이끌려 산행하게된 산이기도 합니다. 여타 그렇듯이 입구에 분위기 좋은 팬션이 들머리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늘상 그렇지만 '저런데서 한번 살아보.. 2009. 7. 1.
지리산 연하북릉-상백무능선 흐르는 물살은 거침없고 물살의 굉음은 우뢰와 같았습니다. 한신지곡으로 산행 계획을 잡았지만 초입부터 험난한 여정을 암시하는듯 그렇케 한신지곡의 물길은 거칠고 사납기만 했는데요 한신지곡은 계곡을 따라서 산행하는 코스이기 때문에 이럴때는 한발 물러서는 것도 안전에 도움이 되리라 여.. 2009. 7. 1.
지리산 심마니능선-이끼폭포골-뱀사골 지리산은 5월 초순까지도 밤에는 겨울 날씨를 보인답니다. 야영하면서도 추워서 겨울옷을 입어야만 했는데요 심지어 4월에도 천왕봉 일대의 고봉에는 눈이 남아있고 삭풍의 바람이 여전히 거세기만 하답니다. 뭐 한여름에도 추워서 이를 달달 떨어본적도 있으니 말입니다. 세삼 4,5월의 추위야 말할 .. 2009. 7. 1.
지리산 서북능선 종주 - 뱀사골 하산 서북능선을 종주 해본적이 언제 였든가 ? 지금으로 부터 7년전 태극종주를 하기 위해 무식한 배낭을 짊어지고 그렇케 그때 이능선을 종주 한적이 있었다. 정말 힘들었다. 물른 이날도 힘들었다. 서북능선은 길고 험하다. 만만히 볼 상대가 아니지만 왠만한 장정이라면 하루만에 노고단까지 충분히 들.. 2009. 7. 1.
지리산에서 부르는 '사랑하는 나의 아들아' 지리산에 다녀왔습니다. 11시간 정도 그렇케 터벅터벅 걸어댄거 같습니다. 지리산은 지금 눈 폭탄이 쏟아진듯 그렇케 많은 눈을 주체할 수 없을 지경이랍니다. 며칠전 내린 비로 능선부는 눈이 얼음으로 변해 걷기가 매우 불편했는데요 하산하니 발목이 아릴 정도 였답니다. 탁트인 지리.. 2009. 7. 1.
지리산에서 뭐했는데 ? 지리산! 아마 그이름만 들어도 설레이고 가슴 한쪽 구석에서 뭔가 모를 울분(?)이 올라온다면 필경 그사람 머리속 반은 지리산에 미쳐있을 가능성이 높은 사람이다. 왜 ? 이유없이 그렇다면 좀 맛이 가있는거 아니겠는가.. 당신에게 가을여행 하면 뜨올려지는 테마가 있는가 ? 가을하면 역시 단풍과 억.. 2009. 7. 1.
눈과의 전쟁을 벌린 지리산 어름터에서 허공달골까지 <향운암터에 남은 부도> 지리산 동부능선 심설 산행시 사진입니다. 사진에는 표현 안되엇지만 눈이 장딴지를 넘어 허벅지까지 쌓인길을 걸어야만 했지요 이때만 해도 그럭저럭 해볼만한 러셀이였죠 하지만 허벅지 이상 적설을 헤쳐 가는건 대단한 체력을 요구합니다. 능선으로 오를.. 2009. 7. 1.
잎에서 약냄새가 나는 '시호' 산형과 '시호'입니다. 잎에서 아주 강한 한약냄새가 나는 식물이지요 등대시호,개시호,섬시호등이 있지만 오히려 기본종인 시호보기가 더힘들더군요 2009. 6. 30.
우포늪의 지금모습 요즘 이시기에 우포늪에 가보셨습니까 자연과 사람이 어떻케 공존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가장 잘알려주는 장소가 바로 우포늪이 아닌지 생각합니다. 자녀가 있는 집이라면 꼭 한번쯤 우포늪에 들러보십시요 우포늪의 새와 그리고 습지식물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십시요 그어떠한 교과서보다 더나은 .. 2009. 6. 30.
여름 습지식물 '부들'의 구분 부들과 '애기부들' 입니다. 한종류가 거의 습지 전체를 덮다시피하고 있더군요 부들의 구분은 의외로 쉬운데요 핫도그마냥 길쭉하게 생긴게 바로 암꽃이삭 입니다. 수꽃은 형편없이 말라빠진 꼬랑지마냥 길쭉하게 생긴게 바로 수꽃이삭인데요 수꽃과 암꽃이 따로 있으면 애기부들 (핫도그 두개, 나중.. 2009. 6. 30.
박하사탕의 맛을 내는 '박하'입니다. 꿀풀과 '박하'입니다. 도랑가 같은 다습한 초지에 자생하는 다년초랍니다. 잎과 줄기에 산뜻한 향을 내는 멘톨과 이소멘톤과 정유 등을 함유하고 있는데요 이를 박하향이라 하지요 하지만 꽃에서는 박하향이 나지 않는답니다. 2009. 6. 30.
습지식물 마름의 앙증맞은 꽃 마름과 '마름'입니다. 습지나 연못 등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이랍니다. 2009.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