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88 우리나라 대표야생화 '금강초롱' 초롱꽃과 '금강초롱'입니다. 우리나라 특산식물로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간판급 야생화라고 해도 이의가 없을 정말 아름다운 야생화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금강산에서 처음 알려져 붙은 이름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이북의 고산지대에서 볼 수 있답니다. 풀숲에서도 피어나지만 때론.. 2009. 7. 7. 시호와 개시호의 구분 (산형과 시호 종류 정리) <시호> <개시호> 시호 개시호 등대시호 섬시호 2009. 7. 7. 잎에서 한약냄새가 물씬나는 '개시호' 산형과 '개시호'입니다. 앞전 소개했던 '시호'와는 많이 다른 모습입니다. 주로 높은산 반양지쪽에 자란답니다. 시호와 같이 잎에서 강한 한약냄새가 나는 종류이기도 하지요 두종류 비교해보면 잎에서 많은 차이가 납니다. <시호> <개시호> 2009. 7. 7. 실제로 존재하는 유령닮은 '유령란' 난초과 '잠자리난초'입니다. 습지에 사는 녀석인데요 물이 자작한 데서 사초들과 어울려 살아가는 늦 여름의 대표적인 난초과 식물이랍니다. 생긴모습을 보고 잠자리 하고 닮았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정작 잠자리보다는 꼭 외국에서 보여주는 '캐스퍼' 그러니까 유령 비슷하게 닮은 모습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실제로 고스트오키드(유령난)라는 난초가 있는데 꼭 유령같이 생긴 모습을 하고 있답니다. 학명(Polyrriza lindenii) *폴리라이저 린데나이*라는 이 난초는 유령 모습을 하고있는 실존하는 난초입니다. 리콜라스케이지 주연의 영화 '어뎁테이션(Adaptation)'에서 그 난초를 소개해주는데요 전세계에서 플로리다의 습지보호구역 한 곳에서만 서식하는 특산종인 유령란에 대해서 작가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2009. 7. 7. 야생에서 자라는 왕머루 모습 녹색빛이 싱그러운 왕머루의 모습입니다. 실제 우리가 알고 있는 머루는 울릉도에서만 자란답니다. 내륙에서 보는건 대부분 왕머루입니다. 머루를 내륙에서 재배 하는것이지요 2009. 7. 7. 야생난초 모음 난초 만큼 수난을 많이 겪는 식물도 드물겁니다. 그들이 가지는 아름다움과 고귀함은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탐욕과 집착을 불러 일으켰고 그로인해 그들은 자생지에서 멸절 또는 소멸되었습니다. '나도풍란'이나 또는 '광릉요강꽃' 그리고 '한란'같은 경우가 아름다움으로 인해 꽃대가 꺽.. 2009. 7. 6. 곰이 돼지잡고 여우가 닭잡고 '곰취' 이름의 유래는 몇가지 추측이 가능합니다.곰취는 깊은 산 중에서 자라는 청정식물입니다. 아주 깊고 맑은곳이 아니면 살지 않는데요 그 때문에 곰이 살만큼 깊은 산에 자라는 풀이라는 뜻에서 '곰취'라는 이름이 유래 되었다는 말도 있구요 또 곰이 잘 먹는 풀이라는 뜻에서 곰취.. 2009. 7. 6. 나무도 새끼를 낳는다 ? 태생식물 [胎生植物] 의 사전적 정의는 "열매가 익은 후에도 한동안 모체 내에 머물러 거기서 종자가 발아하고 뿌리가 나서 떨어져 번식하는 식물 " 쉽게 말해 열매를 땅에 떨어 뜨리지 않고 자기 몸에서 키운뒤 싹이 돋고 어느 정도 자라면 그제서야 나무에서 떨어져 지상에서 자라는 식물을 말합니다.. 2009. 7. 6. 덕유산 여름풍경 2009. 7. 6. 운해와 함께한 범꼬리의 장관 마디풀과 범꼬리입니다. 고산지대의 양지바른 풀숲에 가면 볼 수 있는 대표적 여름 야생화랍니다. 생긴게 마치 범의 꼬리마냥 생겼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지만 실제로 보면 용맹한 봄의 꼬리보다 귀엽고 깜찍한 복실이의 살랑살랑 흔들거리는 꼬리마냥 보입니다. 범꼬리 자라는 군락지에 가면 일대 .. 2009. 7. 6. 윤봉길 의사 상하이 폭탄의거 실제 동영상 2009. 7. 6. 홀로가는 일본 배낭여행기-쿠로가와 온천 쿠로가와 온천은 버스로 이동하여 가는게 좋지만 버스가 많지 않다. 아소역에서 기차로 가는 방법은 없고 대신 아소역 버스 정류소에서 가는편은 있다. 시간표를 미리 파악해두자 본인도 아소산 다음에 쿠로가와온천을 찾아갈 방법을 모색해 봤지만 숙박하지 않는다면 돌아올 방법도 없고 또한 찾아 .. 2009. 7. 4. 이전 1 ··· 263 264 265 266 267 268 269 ··· 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