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88 바닷가에서 자라는 장구채 모양으로 생긴 '갯장구채' 석죽과의 장구채라는 식물은 꽃을 피우는 통 모양이 마치 장구처럼 생겼다고해서 붙혀진 이름입니다. 그중 바닷가에서 자생하는 갯장구채입니다. 2009. 7. 7. 팔랑거리는 나비를 닮은 야생화 '긴잎나비나물' 콩과 '긴잎나비나물'입니다. 마치 팔랑거리는 나비의 모습을 닮은듯 합니다. 잎모양을 잘보세요 2009. 7. 7. 다람쥐의 앙증맞은 꼬리를 닮은 '다람쥐꼬리' 석송과 '다람쥐꼬리'입니다. 몇년전 포자를 달고있는 다람쥐꼬리를 보곤 오랜만에 만나는 반가운 녀석이였습니다.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랍니다. 비슷한 뱀톱이라는 식물도 있는데 뱀톱은 잎에 거치(톱니)가 있어 구분된답니다. 2009. 7. 7. 여우꼬리와 쥐꼬리 비교 누가 더 길까요 ? Aletris spicata (Thunb.) Franch. 백합과 쥐꼬리풀속 '쥐꼬리풀' 쥐꼬리풀의 이름에서 알수있듯이 식물이 쥐꼬리와 닮았을꺼라 생각할 수 도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이식물은 제법 긴꼬리를 자랑하는데요 쥐꼬리에 비교한다면 다소는 억지스러운 면이 있습니다. 확대해서 보면 꽃은 흰색이고 꽃줄기와 화피에.. 2009. 7. 7. 여우꼬리 처럼 생겼다고 해서 '여우꼬리풀' 백합과 '여우꼬리풀'입니다. 특정지역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야생화랍니다. 여우꼬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여우꼬리풀이랍니다. 2009. 7. 7. 호랑이 가시는 없지만 이름은 '호자덩굴' 꼭두서니과 '호자덩굴'입니다. 호자나무라고 있습니다. 이름그대로 호랑이의 발톱 같은 가시가 있다고 해서 호자나무인데요 바로 그 호자나무의 꽃과 닮았다고 해서 호자덩굴이랍니다. 호자덩굴은 매우 작은 식물이며 덩굴로 자라는 덩굴나무랍니다. 2009. 7. 7. 쥐꼬리 처럼 생겼다고 해서 '쥐꼬리풀' 백합과 '쥐꼬리풀'입니다. 생긴게 마치 쥐의 꼬리마냥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실상 쥐꼬리 보다야 매우 길고 커답니다. 전라도 지역의 섬지방의 풀숲에서 자랍니다. 이와 비슷한 '여우꼬리풀'은 드물게 볼 수 있는 종류지요 2009. 7. 7. 섬에 자라는 보호야생식물 '애기등' 콩과 '애기등'입니다. 현재 보호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는 야생화입니다. 전라도 인근의 섬지방에서 드물게 볼 수 있답니다. 2009. 7. 7. 잎이 마주나면 마주송이풀 잎이 마주나면 마주송이풀 그렇치 않으면 송이풀로 구분한답니다. 여름철 숲속에서 볼 수 있는 여름 야생화입니다. 2009. 7. 7. 설악산 서북능선에서 본 붉은알알이 '마가목' 장미과 '마가목'입니다. 설악산의 대표적 식물인데요 능선상에 많이 자라고 있더군요 마가목 열매는 9월경 붉게 익는답니다. 국립공원내에서는 채취는 불법이지요 특히 새들이 좋아하고 짐승들도 마가목 열매를 매우 좋아 한답니다. 2009. 7. 7. 밥알이 없는 며느리밥풀꽃 '새며느리밥풀꽃' 강원도 등지에서 자라는 '새며느리밥풀꽃'입니다. 여타 며느리밥풀에 비해 입술꽃잎에 흰무늬가 없는게 특징이지요 밥알이 없는셈이지요 이외에 포가 붉은것도 특징인데 강원도에서는 무리지어 자라는걸 볼 수 있지만 남녁에서는 보기가 힘들답니다. 2009. 7. 7. 늦여름 피어나는 설악산 대표야생화 '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입니다. 꽃잎처럼 보이는 흰부분은 실상 꽃잎이 아니고 꽃받침이랍니다. 다들 꽃잎으로 착각하지만 정작 꽃잎은 없답니다. 국내에서는 설악산에서만 볼 수 있는 유일한 야생화랍니다. 2009. 7. 7. 이전 1 ··· 262 263 264 265 266 267 268 ··· 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