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88 고산지대에 자라는 '말나리' 말나리는 잎이 돌려나는게 특징입니다. 고산지대나 높은산의 음지에 자라는 종류랍니다. 산아래 하늘을 향해 피는 종류를 하늘말나리라 부르죠 2009. 7. 7. 보호야생식물 솔나리의 아름다운 자태 솔잎 처럼 긴 잎을 가졌다고 해서 '솔나리'라고 한답니다. 현재 환경부에서 정한 보호야생식물 2급에 해당하는 보호식물입니다. 높은산의 암벽 등지에서 피어납니다. 2009. 7. 7. 하늘 향해 피어나는 붉은 색감을 가진 '하늘나리' 고산지대 풀숲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하늘나리'입니다. 이름 그대로 하늘을 향해 꽃이 피어나죠 그래서 하늘나리입니다. 2009. 7. 7. 하늘보고 자라는 하늘말나리의 아름다운 모습 하늘말나리의 모습입니다. 고산지대에 자라는 말나리와 달리 얕은 주변산에서도 볼 수 있는 야생화랍니다. 말나리 종류는 잎이 모두 돌려난답니다. 2009. 7. 7. 개병풍의 생선알 같은 꽃모습 우리나라에서 잎이 가장 큰 식물 '개병풍'의 꽃모양입니다. 마치 생선알을 옮겨 놓은듯한 모습입니다. 2009. 7. 7. 대한민국에서 잎이 가장 큰 식물 '개병풍' 강원도 산간 오지에서 볼 수 있는 '개병풍'입니다. 우리나라 식물중에서는 가시연꽃을 제외하고 가장 큰 잎을 가진 식물입니다. 매우 드물게 볼 수 있는 현재 보호야생식물 2급종에 해당한답니다. 2009. 7. 7. 대덕산을 대성산으로 불러서 이름진 '대성쓴풀' 강원도 대덕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는데 학자가 지명을 잘못알아 대덕산을 대성산으로 여겨 '대성쓴풀'이 되었다고 합니다. 강원도 등지에서 매우 드물게 볼 수 있는 희귀식물입니다 꽃은 5월경 핍니다. 2009. 7. 7. 정말 우연찮게 살펴 본 '푸른참나리난초' 참나리난초중 드물게 볼 수 있는 '푸른참나리난초'입니다. 옥잠난초 종류라 여기고 대수롭지 않게 촬영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푸른참나리난초였습니다. 2009. 7. 7. 지금 익어가는 야생 오미자의 모습 야생에서 자라고 있는 '오미자'의 지금 모습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붉게 익어간답니다. 향이 정말 강해 키우는 거와는 비교가 안될정도죠 가을경 지리산에서 야영할때 따두었던 오미자를 끓여 추운 가을밤 호호 불며 마셨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는군요 2009. 7. 7. 갈매기 닮았다고 해서 '갈매기난초' 난초과 '갈매기난초'입니다. 갈매기 닮았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지만 실상 갈매기하고 닮았는지 싶을 의문이 듭니다. 강원도 등지에서 드물게 볼 수 있답니다. 2009. 7. 7. 색감 농염한 '털중나리' 백합과 '털중나리'입니다. 이름 그대로 중나리에 비해 털이 많은 종류입니다. 나리꽃 종류는 꽃이 피는 방향에 따라 이름을 짓는데요 땅을 보면 땅나리. 하늘을 보면 하늘나리. 중간을 보면 중나리라 한답니다. 2009. 7. 7. 대극과 '광대싸리' 대극과 '광대싸리'입니다. 2009. 7. 7. 이전 1 ··· 260 261 262 263 264 265 266 ··· 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