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88 제주 칼 동굴 영상 칼 동굴 공기방울 안전정지 2020. 6. 1. 문섬 연산호 군락지 영상 2020. 6. 1. 쏠배감펭(라이온피쉬) 제주도 문섬 다이빙할 때 직접 촬영한 라이온피쉬입니다 2020. 5. 31. 곰취와 동의나물 직접 비교 한 장소에 곰취와 동의나물이 같이 자라고 있는 모습입니다. 여러분은 딱 곰취하고 동의나물 바로 구분하시겠습니까 이 모습이 곰취입니다. 동의나물의 잎과는 다소 구분됩니다. 자세히 보면 말이죠 동의나물은 봄에 꽃이 피지만 곰취는 여름경 피기 때문에 지금 꽃이 피는 건 무조건 동의나물입니다. 동의나물은 강력한 독초입니다. 그래서 모르고 먹게 되면 중독 사고을 일으킨답니다. 동의나물하고 헷갈리지 마시길 바라며 아예 채취하지 않는 게 제일 좋은 방법입니다. 특히 습지에선 동의나물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거기서 곰취는 찾지 않는게 현명합니다. 2020. 5. 27. 곤달비와 곰취 잎모양 비교 좌측이 곤달비 우측이 곰취입니다. 2020. 5. 25. 복이 많은 곳, 만복대 백패킹 만복대(萬福臺), 지리산에서 복(福)이 가장 많이 드는 곳이라 하여 이름 지어진 장소. 만복대는 지리산에서 우뚝 솟은 봉우리지만 봉으로 불리지 않고 종석대와 같이 '대(臺)'로 불리는 몇 안 되는 장소다. 지리산에서 향운대, 향적대, 문수대, 묘향대 등등 큰 바위 아래있는 영험한 기도처를 흔히 대라 부르는데 이런 곳에 가면 대체적으로 큰 암벽으로 둘려 싸여 있고 석간수가 흐르고 터가 평평해 오랫동안 머물며 기도하기 좋은 곳이다. 실제 지리산의 수많은 대 아래는 기도하는 사람들의 흔적이 매우 많다. 만복대가 무속인들의 기도처로 활용됐는지는 모르겠지만, 정령어린 영험한 곳이라 '봉'이라 부르지 않고 '대'로 불렀지 않았나 싶다. 하지만 '대'가 큰 바위 아래에 위치한 통념에 비하면 만복대에는 큰 바위가 없다.. 2020. 5. 25. 큰앵초 2020. 5. 25. 감자난초 난초과 감자난초입니다. 뿌리가 마치 감자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2020. 5. 25. 삼태지맥 50km 걷기(불국사~삼태봉~동대산~무룡산) 삼태지맥, 산줄기 중에 삼태봉이 가장 높다 하여 붙여진 지맥인데 토함산 호미지맥 분기점에서 울산 북구 화암추등대까지 이어진 46km 능선을 말한다. 십수 년 전, 나는 울산에서 경주까지 7번 국도 우측 편의 길고 긴 능선에 대해서 궁금증을 자아낸 적이 있었다. "어 저 능선 정말 기네 부드럽기도 하고" 7번 국도를 자주 찾진 않았지만 그래도 산꾼의 근성이 있어 능선만 보면 시선이 자주 가는 터였다. 경주~울산의 7번 국도. 국도 한편의 저 '길고 긴 능선'에 대한 탐닉은 그때부터 이어지고 있었다. "언젠가 저 능선을 걸어봐야지" 십수 년이 지난 지금. 나는 저 길고 긴 능선 이름이 삼태지맥이란 걸 알았고 이제야 저 능선을 걸어보리라 계획을 잡은 것이다. 삼태지맥이란 능선을 완주하는 것도 나름 의미가 있겠.. 2020. 5. 18. 검은등뻐꾸기 울음소리(일명 홀딱벗고새) 러시아 동남부에서 인도, 네팔, 중국, 한국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한다. 흔한 여름철새다. 4월 하순에 도래해 번식하고, 9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2020. 5. 18. 송엽국과 닮은 리빙스턴 데이지(Livingstone Daisy) 리빙스턴 데이지((Livingstone Daisy)) 아름다운 꽃의 모습과는 달리 번행초과랍니다. 번행초는 바닷가에 자라는 다육식물로서 꽃으로 따지면 정말 다른 종류죠. 국화과 꽃과 닮아 데이지(Daisy)라 불리지만, 실제로는 번행초과 도로테안터스속(Dorotheanthus) 식물. 같은 번행초과의 송엽국(사철채송화)처럼 즙이 많은 다육질 잎을 가지고 있는데 송엽국하고 꽃이 많이 닮았는데 잎에서 차이가 나 구분이 된답니다. 리빙스턴 데이지는 꽃색이 매우 다양해서 꽃밭에 잔뜩 심어 놓으면 화사함 그자체랍니다. 송엽국은 잎이 솔잎 처럼 생겼다고 송엽국인데요 리빙스턴데이지의 잎과는 격이 다르답니다. 꽃만 보면 똑같이 닮았죠 리빙스턴데이지입니다. 2020. 5. 14. 뜨거운 입술, 핫 립 세이지(Hot Lip Sage) 핫 립 세이지, 세이지 종류인데요 세이지는 허브식물이자 관상용과 식용으로 사용하는 식물입니다. 이 핫립세이지도 마찬가지입니다. 꽃도 이쁘지만 허브로 사용할 수 있는 식용이랍니다. 향은 애플민트하고 비슷한 느낌이지만 독특합니다. 크기는 작지만 엄연히 나무입니다. 촘촘히 자라기 때문에 묶어 줘야 한답니다. 화분에 무성하 게 키워도 아주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향기까지도 은은하 게 피워내는 매력 만점의 꽃입니다. 2020. 5. 12.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2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