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88

고산 바위틈에 자라는 흰자주꿩의다리 미나리아재비과 자주꿩의다리입니다. 하지만 때론 음지에 자랄경우 흰색도 나온답니다. 흰자주꿩의다리라고 부르면 맞을란가 모르겠네요 고산의 바위틈에 자라는 종류랍니다. 2009. 8. 6.
에델바이스로 오해받는 '산솜다리' 설악산 공룡능선에 피어나는 '산솜다리'입니다. 흔히 에델바이스로 오해받기도 하는데요 실제 에델바이스는 국화과 솜다리속 식물에 대한 종속명입니다. 에델바이스라는 이름 하나로 모두를 지칭하기란 무리이구요 또한 스위스의 국화이기도 한 에델바이스와는 다른 종류랍니.. 2009. 8. 6.
아네모네의 전설이 담긴꽃 '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입니다. 설악산 공룡능선 일대에서만 드물게 볼 수 있는 종류랍니다. 아네모네 전설에 관련된 글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http://blog.daum.net/_blog/hdn/ArticleContentsView.do?blogid=03j7Q&articleno=7352154&looping=0&longOpen= 2009. 8. 6.
대한미국 대표 야생화 공룡능선의 금강초롱 설악산 공룡능선에서 피어나는 금강초롱입니다. 8월달 부터 피어나기 시작한답니다. 우리나라 특산식물로서 대한민국 대표 야생화지요 2009. 8. 6.
아주 작은 식충식물 '이삭귀개' 통발과 '이삭귀개'입니다. 땅귀개와 더불어 습지에 사는 아주 작은 식충식물입니다. 이삭귀개나 땅귀개는 뿌리로 먹이를 잡는데요 하지만 모든 종류가 모두 포충낭을 가지고 있는건 아니랍니다. 어린개체는 포충낭이 없답니다. 추후 자라게 되면서 포충낭을 만들지요 너무 작아 쌀알보다 실제 더 작.. 2009. 8. 6.
쌀알보다 작은 식충식물 '땅귀개' 이삭귀개와 더불어 같이 잘사는 식충식물 '땅귀개'입니다. 노란색으로 구분되는데요 이삭귀개나 또는 땅귀개는 말그대로 귀청소 할때 사용 하는 귀개를 닮았답니다. 2009. 8. 6.
상사화라 잘못 불리는 이름 '백양꽃' 입니다. 수선화과 '백양꽃'입니다. 우리나라 특산식물입니다. 흔히 수선화과 식물을 일컬어 상사화라 통칭해서 부르는데요 선운사 등지에서 자라는 '꽃무릇'이나 기타 '붉노랑상사화'등 자생하는 대부분의 수선화과 식물을 우리는 '상사화'라 부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상사화'는 엄연히 다른종류입니다. 키우.. 2009. 8. 6.
생긴것도 이름도 재미있는 '여우팥' 콩과 여우팥입니다. 왜 여우라는 이름이 붙었을까요 ? 2009. 8. 6.
반기생식물 '절국대' 현삼과 반기생식물 '절국대'입니다. 절국대 확대사진입니다. 2009. 8. 6.
유령닮은 잠자리난초 요즘 피어나는 난초과 '잠자리난초'입니다. 잠자리 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지만 실제 잠자리보다 유령같아 보이지 않습니까..캐스퍼 말입니다. 2009. 8. 6.
세잎승마와 눈빛승마의 구분 위/세잎승마 아래/눈빛승마 세잎승마은 작은잎이 3장이라 구분됩니다 비슷한 눈빛승마는 열편이 깊게 갈라져 2회3출엽 즉 잎이 총 9장으로 보이므로 쉽게 구분됩니다. 2009. 8. 6.
미기록종 '조도만두나무'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상조도에서 발견된 미기록종의 낙엽 관목입니다. 조도에서 발견된 만두모양의 열매를 맺는 나무입니다. 열매가 만두 모양처럼 생겼기 때문에 조도만두나무로 정식 명명되었는데요 조도만두나무는 Glochidion 종으로 정식 학명은 Glochidion chodoense J.S.Lee & H.T.Im이랍니다. 2009.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