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88

태국 왓프라깨우사원과 왕궁 모습 태국 왕궁의 왓프라깨우 사원 모습 2009. 7. 30.
솜분 씨푸드 뿌팟뿡가리 태국에서 유명한 레스토랑 뿌팟뿡가리의 모습입니다. 2009. 7. 30.
김해 지역 산악회 산악회명 산행일자 목적산 위치 높이(m) 연락처 카페주소 경운 산악회 첫째 5.6 설악산 속초 1707 055-324-8848 http://cafe.daum.net/khkjy1 셋째 20 지리산 하동 1915 산사랑 산악회 둘째 13 금오산 구미 977 011-881-1731 http://cafe.daum.net/GimhaeSansarangM 넷째 26.27 정승골 밀양 수련회 백두산악회 둘째 13 무등산 .. 2009. 7. 30.
오매불망 찾았던 연령초 '엔레이 소우' 한국말 연령초입니다. 일본말도 연령초(延齡草)라 부릅니다. 하지만 한국의 연령초(延齡草)와는 다릅니다. 이름만 같을 뿐이죠 연령초는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풀'이라는 뜻으로서 이 야생화의 약효를 드높혀 풀이한 것이지만 실제 효과는 미지수죠 '엔레이 소우'라 불리는 일본의 연령초는 꽃받침이.. 2009. 7. 30.
하이마쯔와 살아가는 만병초 '하쿠산 샤꾸나게' 엄청난 만병초의 군락이였습니다. 하이마쯔와 그렇케 살아가는데요 개화기는 6-7월인데 우리가 갔을때는 모두 개화기가 끝난 상태였습니다. 한국의 만병초와 같은종입니다. 萬病草, Rhododendron brachycarpum 만가지 병을 고친다는 뜻의 만병초인데요 실제 뻥이 심하게 붙은 명칭이기도 하죠 명칭에 하쿠산.. 2009. 7. 30.
눈잣나무의 거대한 물결 '하이마쯔' 북알프스 능선은 거의 대부분 눈잣나무가 덮고 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한국에서는 설악산 대청봉 일대에 자라는 종류인데요 일본에서는 능선상 거의 하이마쯔가 다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이마쯔가 자람으로서 수많은 지표식물이 한데 어울려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산사태 .. 2009. 7. 30.
일본에서 본 범꼬리 '이부끼 도라 노 오' イブキトラノオ(伊吹虎の尾) 한국의 고산지대에서 흔히 보는 범꼬리와는 다른 종류입니다. 일본의 범꼬리가 잎이 더욱더 넓고 꽃차례도 복실하고 또 키도 크고 날씬합니다. 한국이나 일본이나 이런 종류를 모두 범꼬리라고 부르는건 같은데요 아무래도 우리 국명이 일본의 국명을 많이 따라하다 보.. 2009. 7. 30.
[일본 북알프스 야생화] 복스러운 복실이꼬리 '사라시나 쇼우마' サラシナショウマ (晒菜升麻) 아고산지대의 낙엽수림대에 자라는 다년생 식물입니다. 탐스러운 복실이 꼬리 마냥 그렇케 생겼는데요 한국에서는 '촛대승마'와 비슷하지만 그보다 더욱더 꽃술이 복스러운 종류입니다. 산지 연못 근처에서 많이 본 종류입니다. 2009. 7. 30.
택란이라 부르는 '쉽싸리' 꿀풀과 '쉽싸리'입니다. 다른말로 택란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009. 7. 30.
이꽃으로 바늘을 꿸 수 있을까요 ? '바늘꽃' 인터넷에 올려진 바늘꽃의 모습은 사실 거의 원예용 식물을 올려놓은거랍니다 실제 바늘꽃은 돌바늘꽃과 흡사한데요 암술대의 모양이 곤봉이면 바늘꽃 암술대의 모양이 둥글면 돌바늘꽃이랍니다. 돌바늘꽃은 드물게 볼수있지요 실제 보는 대부분은 바늘꽃입니다 2009. 7. 30.
"그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의 주인공 '싱아' "그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박완서 작가의 작품에서 유명해진 마디풀과의 '싱아'입니다. 습기가 있는 계곡 주변의 양지쪽 풀숲에 자라는 식물인데요 사실 거의 잡초취급 당하는데 책제목 때문에 나름대로 유명세를 탄 종류입니다. 봄에 어린싹을 나물로 먹습니다. 2009. 7. 30.
자세히보면 모기 처럼 생긴 야생화 '영아자' 초롱꽃과 '영아자'입니다. 염아자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여름철 숲속의 개천 주위에 피어나는 야생화랍니다. 접사를 해보면 마치 모기의 주동이 같은 느낌을 주는 야생화입니다. 2009.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