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1379

아름다운 꽃 동자꽃 동자가 죽어 꽃이 된 동자꽃입니다. 영화 '오세암'이 바로 동자꽃의 모티브죠 동자의 무덤가에 피어난 꽃이라고 해서 동자꽃입니다. 설악산 오세암에 가면 주위로 동자꽃이 많이 피어있을겁니다. 잘 찾아보세요 2012. 7. 22.
알싸한 한약 내음의 주인공 개시호 개시호입니다. 잎을 씹어보면 알싸한 한약 내음이 그대로 묻어나는 야생화랍니다. 시호.등대시호.개시호.참시호 4종류의 시호 종류가 있습니다. 시호 종류는 뜨거운 지금이 한창 개화기랍니다. 2012. 7. 22.
2012년 보호식물 편입 애기송이풀 현삼과 애기송이풀입니다. 2012년 부터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에 해당하는 보호식물이 되었습니다. 매우 드물게 볼 수 있을뿐만 아니라 개체수도 드뭅니다. 무엇보다 자생지 환경이 너무 안좋아 훼손 위험이 상당하기 때문에 아마도 보호식물에 편입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애기송이풀은.. 2012. 7. 16.
2012년 보호식물 편입 닻꽃 용담과 '닻꽃'입니다. 아주 더울 때 촬영했던 사진인데, 무척이나 더웠던 날로 기억합니다. 용담과 식물들이야 늦여름부터 초가을까지 피어나는데 그중 닻꽃은 여름의 절정에 있을 때 피어난답니다. 2012년 부터 멸종위기야생식물 2급에 해당되는 보호식물입니다. 일찍이 멸종위기의 희귀.. 2012. 7. 16.
2012년 보호식물 편입 한라송이풀 한라송이풀입니다. 2012년 부터 보호식물에 편입 된 종류랍니다. 한라산에서 발견되어 붙혀진 이름이지만, 실상 가야산이나 설악산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한라송이풀과 구름송이풀의 구분은 마뜩찮아 보입니다. 현재 현진오 박사는 가야산의 그것을 한라송이풀로 동정하고 계시답니다. .. 2012. 7. 15.
2012년 보호식물 편입 구름병아리난초 난초과 구름병아리난초입니다. 몇 해 전 사진으로 오래된 자료입니다. 요즘에 구름병아리난초 개화시기에 찾아가질 못해서 자료가 없습니다. 그만큼 찾아내기가 쉽지 않은 종류랍니다. 올해부터 멸종위기식물 2급으로 보호식물로 지정되었답니다. 잎에 반점이 있는 점박이구름병아리난.. 2012. 7. 15.
2012년 보호식물 편입 날개하늘나리 날개하늘나리입니다. 멸종위기식물 2급에 해당하는 보호식물이랍니다. 최근에 찍은 사진은 아니구요 몇 해 전 찍어둔 자료입니다. 날개하늘나리 보기란 '하늘에 별 따는거' 보다 힘든 '별 달기' 수준이랍니다. 국내 자생 개체는 극히 드물고 인터넷에 게시된 사진은 백두산의 자료가 대부.. 2012. 7. 15.
복제의 능력을 가진 참나리의 살눈 참나리의 살눈(주아)입니다. 참나리는 열매의 씨앗으로 번식도 되지만, 살눈으로도 번식이 가능합니다. 살눈을 떼어내 심어면 똑같이 싹이 납니다. 그러니까 암꽃.수꽃의 수분을 통해서 씨방에서 열매가 달리지 않더라도 그냥 자기 몸에서 돋아나는 살눈만으로도 얼마든지 번식이 된다.. 2012. 7. 13.
하늘보고 피는 하늘말나리 나리꽃 특징은 방향에 있습니다. 하늘 보면 하늘나리 땅을 보면 땅나리 중간을 보면 중나리입니다. 야생화 중 '말'자는 기본종에 비해 특징이 있는 종류를 말합니다. 말나리는 반점이 많은게 특징이며 잎이 돌려나기하고 키도 작습니다. 그중 말나리 중에서도 하늘을 보는 종류를 하늘말.. 2012. 7. 12.
하늘에서 내려준 마 '천마' 난초과 '천마'입니다. 지고 있는 모습이라 씨방이 토실하게 부풀러 있는 모습이네요 천마는 꽃이 필 때면 뿌리는 삭아 없어집니다. 그래서 캐어봐야 헛수고입니다. 자생 천마 보단 재배용 천마를 구하는 게 좋습니다. <촛점 불량> 줄기의 색은 다양합니다. 저렇게 베이지색(?) 비슷한 .. 2012. 7. 12.
제주무엽란과 노랑제주무엽란 <노랑제주무엽란> 난초과 '제주무엽란'입니다. 이름 그대로 잎이 없는 난초입니다. 부생성 난초로서 광합성은 하지 않습니다. 난초라면 화려한 잎을 자랑하지만 사실 난초계의 1/3은 잎이 없는 부생성 난초가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그 종류가 다양합니다. <제주무엽란> 1. 무엽란(L.. 2012. 7. 9.
이름도 정겨운 한라새둥지란 난초 같지 않은 난초 '한라새둥지란'입니다. 부생성 난초입니다. 광합성을 하지 않지만, 특정 생물과 공생 또는 기생으로 살아가는 식물입니다. 한라새둥지란은 제주도에서 처음 알려졌지만, 요즘엔 육지에서도 발견되어 내륙 곳곳에 그 자생지가 있음이 알려졌습니다. 새둥지란과 닮았.. 2012.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