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1379

한라새둥지란 난초 같지 않은 난초 '한라새둥지란'입니다. 부생성 난초입니다. 광합성을 하지 않지만, 특정 생물과 공생 또는 기생으로 살아가는 식물입니다. 한라새둥지란은 제주도에서 처음 알려졌지만, 요즘엔 육지에서도 발견되어 내륙 곳곳에 그 자생지가 있음이 알려졌습니다. '새둥지란'과 닮.. 2013. 5. 23.
녹화새우란 녹화 새우란입니다. 아직 어떤 종류인지에 대해서는 구분되지 않았지만 새우란의 변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난은 3장의 꽃잎과 3장의 꽃받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새우란과 비교해서 꽃잎과 꽃받침의 색이 확연히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새우란을 볼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htt.. 2013. 5. 23.
제주무엽란과 노랑제주무엽란 <노랑제주무엽란> 난초과 '제주무엽란'입니다. 이름 그대로 잎이 없는 난초입니다. 부생성 난초로서 광합성은 하지 않습니다. 난초라면 화려한 잎을 자랑하지만 사실 난초계의 1/3은 잎이 없는 부생성 난초가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그 종류가 다양합니다. <제주무엽란> 1. 무엽란(L.. 2013. 5. 23.
새우란 난초과 새우란입니다. 새우란은 뿌리가 땅 속에서 옆으로 연결되는 구경(뿌리줄기)이 마치 새우등을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하지만, 좀 과장된 건 있습니다. 그다지 새우하고 닮지는 않았답니다. 쥐꼬리망초나 쥐꼬리풀.여우꼬리풀 등 동물이나 생물에 빗댄 식물의 이름엔 '은유.. 2013. 5. 23.
주걱댕강나무 인동과 주걱댕강나무입니다. 2013. 5. 20.
흰색 주걱댕강나무 주걱댕강나무의 흰색 개체입니다. 주걱댕강나무는 일본이 원산지로 알려져있었지만 국내도 자라고 있다는 게 확인된 건 2005년경입니다. 흰색은 드물게 볼 수 있습니다. 아직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흰색이 등록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2013. 5. 20.
팥배나무 팥배나무입니다. 2013. 5. 20.
감자난초 난초과 감자난초입니다. 감자난초는 잎이 한장인게 특징입니다. 두잎으로 자라는 게 '두잎감자난초'인데 드물게 볼 수 있답니다. 감자난초의 국명은 뿌리가 마치 감자처럼 생겼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실상 모양만 감자지 크기는 아주 작아 조금 큰 콩 수준입니다. 2013. 5. 20.
노랑무늬붓꽃 3종류 <흰노랑무늬붓꽃> 식물종 정명 Iris odaesanensis Y.N.Lee 노랑무늬붓꽃 2003/11/30 식물종 정명 Iris odaesanensis f. albiflora Y.N.Lee 흰노랑무늬붓꽃 2005/11/14 식물종 정명 Iris odaesanensis f. purpurascens Y.N.Lee 보라노랑무늬붓꽃 2004/09/29 <노랑무늬붓꽃> <보라노랑무늬붓꽃> 2013. 5. 15.
멸종위기종 애기송이풀 보호야생식물2급 현삼과 애기송이풀입니다. 2013. 5. 15.
남방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 남방바람꽃입니다. 2013. 5. 15.
멸종위기종 갯봄맞이 앵초과 '갯봄맞이'입니다. 현재 보호야생식물2급에 해당하는 멸종위기종입니다. 자생지는 시청에 신고한 상태입니다. 2013.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