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1379

금괭이눈 범의귀과 금괭이눈입니다. 노랗게 보이는 건 꽃잎이 아니라 포라는 기관이랍니다. 꽃 밑에 달리는 기관이죠 2013. 5. 8.
야생 흰철쭉 산행을 하다 더러 흰색이 비치는 철쭉을 만난적은 있었습니다. 그럴때면 어김없이 꽃잎에 분홍색이 약간 비치거나 수술이나 꽃밥의 색이 흰색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사실상 흰색은 아직 만나지 못했습니다. 우연히 본 이 개체들은 완전 흰색입니다.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 al.. 2013. 5. 2.
설앵초 고산의 습지에 드물게 피는 설앵초입니다. 2013. 4. 29.
피나물 군락지 2013. 4. 26.
봄의 야생화 2013. 4. 23.
가마우지 주남저수지에서 민물가마우지는 많이 봤습니다. 하지만 가마우지를 이렇게 보긴 또 처음이네요 바닷가 군데군데 저녀석들이 저렇게 앉아있더군요 망원렌즈가 없어 트리밍으로 확대해 봤습니다. 2013. 4. 15.
금창초 마치 새가 날아가는듯한 모양의 꽃잎입니다. 금창초의 꽃을 자세히 보면 마치 한마리의 새를 보는듯 하답니다. 2013. 4. 15.
흰제비꽃 흰제비꽃입니다. 흰젖제비꽃이 대게는 더 많지만 자세히 보면 흰제비꽃 또한 자주 보입니다. 무리를 지어 집단으로 자란다면 대게는 흰젖제비꽃일 확률이 높습니다. 흰젖제비꽃은 자주색 무늬가 순판(입술꽃잎)에만 있지만 흰제비꽃은 순판과 측판(측면꽃잎) 모두 자주색 줄무늬가 있는.. 2013. 4. 15.
양지꽃 동산 바닷가 언덕배기에 피어난 양지꽃 무리입니다. 2013. 4. 15.
갯개미자리 갯개미자리 분홍색입니다. 대게는 흰색 개체들이 더 많습니다. 그렇다고 분홍색들이 드문 건 아니고 흐드러지게 피어납니다. 개미자리 종류 중 바닷가에서 서식하는 녀석들이지요 아마 꽃잎 때깔은 분홍색이 제일 이쁠것 같습니다. 다육식물입니다. 봄에 나물로도 활용한답니다. 대게 .. 2013. 4. 15.
바닷가의 두메대극 두메대극입니다. 대게 식물 이름 앞에 '두메'자가 붙는 경우 산의 높은곳 또는 오지의 장소에서 피어나는 경우 붙힙니다. 두메대극은 한라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인데요 사진의 두메대극은 모두 바닷가에서 자라는 녀석들입니다. 두메 이름이 좀 머쓱해지는 순간이죠 2013. 4. 15.
살갈퀴 요즘 풀밭에서 흔히 보는 살갈퀴입니다. 2013.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