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1379 [일본 북알프스 야생화] 사진안에 들어가 있는 야생화 이름 맞춰보기 보라색 도라지꽃 같은게 '이와기 큐우' 해바라기 처럼 큰꽃은 '우사기 기꾸' 안개꽃 같은 흰꽃은 '다까에 쯔메구사' 그리고 붉은꽃들은 '다까에 시오가마'입니다. 그리고 숨어있는 꽃중에 '이와 벤께이'도 보이구요 그리고 '이와 오또 기리'도 보이는군요 2009. 7. 2. [일본 북알프스 야생화] 일본 고산에 핀 도라지 '찌시마기 큐우' 이와기큐우와 닮은 찌시마기큐우입니다. 이와기 큐우: 꽃받침이 십자형으로 떨어져 있고 찌시마기 큐우: 꽃받침이 꽃잎에 붙어 있죠 이와기 큐우: 꽃잎에 털이 없고 하늘을 향해 비스듬히 피고 찌시마기 큐우: 꽃잎에 털이 있고 수평으로 핍니다. 밑에 소개한 이와기큐우의 모습입니다. 꽃받침을 비교.. 2009. 7. 2. [일본 북알프스 야생화] 고산의 도라지 '이와기 큐우' '이와기 큐우'입니다. 이와 달리 꽃잎에 털이 있고 종모양의 꽃잎이 더욱더 긴 종류가 '찌시 마기 큐우'라고 부릅니다. 우리가 본게 아마도 두종류 모두 였던것 같습니다만 사실 뚜렷하게 살펴보지를 않아서 사진만 보고는 두종류를 딱 구분해내기란 어려울듯 싶습니다. 2009. 7. 2. 지리터리풀이 아닙니다. '아까 바나 시모쯔게 소우' '아까 바나 시모쯔게 소우' 적화하야초 (赤花下野草)입니다. '지리터리풀'과 매우 닮았는데요 인터넷을 뒤지니 적화하야초는 Filipendula multijuga (참터리풀)의 변종으로 기록되어 있더군요 흔히 지리산에서 보는 지리터리풀과 닮았다고 생각하시겠지만 지리터리풀은 지리특산식물입니다. 그래서 지리산.. 2009. 7. 2. [일본 북알프스 야생화] 일본의 물매화 ' 우메 바찌소우' 한국의 물매화는 단 한종뿐입니다. 그런데 일본에서는 물매화 종류가 4종이나 되더군요 그중 고산지대에 자라는 '우메 바찌 소우'입니다. 한국의 물매화와 가장 닮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북알프스의 물매화는 생태 환경도 많이 달랐고 키도 많이 크고 뭉쳐서 자라는 형태가 한국의 물매화.. 2009. 7. 2. [일본 북알프스 야생화] 모두 감탄했던 그야생화 '끼노 가사 소우' 능선에서 본것이 아니라 숲속에서 본 야생화입니다. 반음지에서 본 야생화인데요 바로 衣笠草(의립초) '키노 가사 소우'라고 합니다. 꽃의 의미가 재미 있습니다. 옷과 삿갓을 닮았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인데요 일본의 탁발승이 쓰고 있는 삿갓과 많이 닮았습니다. 의립초는 숲속 곳곳에서 볼 수 있었.. 2009. 7. 2. [일본 북알프스 야생화] 일본에서 본 산용담 '또우야꾸 린도우' 백두산에 '산용담'이라는 종류가 자랍니다. 개인적으로 백두산에 아직 가보지를 못했기 때문에 산용담을 사실 아직 본적은 없습니다만 오히려 이번 북알프스에서 실컨 볼 수 있었습니다. 산용담을 일본말로 当薬竜胆 '또우야꾸 린도우'라고 부른답니다. 위장약으로 많이 쓰여 이름도 그리 정해졌다고.. 2009. 7. 2. [일본 북알프스 야생화] 정말 오묘했던 '이와 쯔메구사' 아마도 가장 신비하게 생각했을 야생화입니다. 이와 쯔메구사인데요 '암조초(岩爪草)'라고 합니다. 이미 소개했던 다까에 쯔메구사가 고령조초라고 합니다. 물 한줌 없는곳에서 살아가는 참으로 억척 같았던 야생화입니다. 암조초 뿐만 아니라 북알프스 능선에 살아가는 야생화들은 하나같이 억척스.. 2009. 7. 2. 잎에서 약냄새가 나는 '시호' 산형과 '시호'입니다. 잎에서 아주 강한 한약냄새가 나는 식물이지요 등대시호,개시호,섬시호등이 있지만 오히려 기본종인 시호보기가 더힘들더군요 2009. 6. 30. 여름 습지식물 '부들'의 구분 부들과 '애기부들' 입니다. 한종류가 거의 습지 전체를 덮다시피하고 있더군요 부들의 구분은 의외로 쉬운데요 핫도그마냥 길쭉하게 생긴게 바로 암꽃이삭 입니다. 수꽃은 형편없이 말라빠진 꼬랑지마냥 길쭉하게 생긴게 바로 수꽃이삭인데요 수꽃과 암꽃이 따로 있으면 애기부들 (핫도그 두개, 나중.. 2009. 6. 30. 박하사탕의 맛을 내는 '박하'입니다. 꿀풀과 '박하'입니다. 도랑가 같은 다습한 초지에 자생하는 다년초랍니다. 잎과 줄기에 산뜻한 향을 내는 멘톨과 이소멘톤과 정유 등을 함유하고 있는데요 이를 박하향이라 하지요 하지만 꽃에서는 박하향이 나지 않는답니다. 2009. 6. 30. 습지식물 마름의 앙증맞은 꽃 마름과 '마름'입니다. 습지나 연못 등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이랍니다. 2009. 6. 30. 이전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 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