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여름525

특이하게 해안가에서 본 두메대극 대극과 두메대극입니다. 두메대극은 이름과 같이 높은산에 자라는 식물인데요 한라산 중턱쯤 올라가면 볼 수 있는 야생화입니다. 하지만 이종류는 부산 해안가에 자라고 있는 두메대극이랍니다. 2009. 7. 2.
캐스퍼 닮은 '잠자리난' 습지에서 볼 수 있는 난초과 '잠자리난'입니다. 2009. 7. 2.
잎에서 약냄새가 나는 '시호' 산형과 '시호'입니다. 잎에서 아주 강한 한약냄새가 나는 식물이지요 등대시호,개시호,섬시호등이 있지만 오히려 기본종인 시호보기가 더힘들더군요 2009. 6. 30.
여름 습지식물 '부들'의 구분 부들과 '애기부들' 입니다. 한종류가 거의 습지 전체를 덮다시피하고 있더군요 부들의 구분은 의외로 쉬운데요 핫도그마냥 길쭉하게 생긴게 바로 암꽃이삭 입니다. 수꽃은 형편없이 말라빠진 꼬랑지마냥 길쭉하게 생긴게 바로 수꽃이삭인데요 수꽃과 암꽃이 따로 있으면 애기부들 (핫도그 두개, 나중.. 2009. 6. 30.
박하사탕의 맛을 내는 '박하'입니다. 꿀풀과 '박하'입니다. 도랑가 같은 다습한 초지에 자생하는 다년초랍니다. 잎과 줄기에 산뜻한 향을 내는 멘톨과 이소멘톤과 정유 등을 함유하고 있는데요 이를 박하향이라 하지요 하지만 꽃에서는 박하향이 나지 않는답니다. 2009. 6. 30.
습지식물 마름의 앙증맞은 꽃 마름과 '마름'입니다. 습지나 연못 등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이랍니다. 2009. 6. 30.
습지식물 가래의 특이한 꽃 가래과 '가래'식물입니다. 연못이나 습지등지에 많이 자라는데요 저게 바로 꽃입니다. 2009. 6. 30.
머리가 검어진다는 나도하수오 여뀌과의 '나도하수오'입니다. 줄기의 색으로 백하수오 적하수오로 구분합니다. 줄기의 색이 붉은면 적하수오 흰색빛이면 백하수오로 구분한답니다. 둘다 통칭해서 하수오라고 부르기도 하구요 그중 나도하수오는 산골짝에서 좀 드물게 볼 수 있는 종류랍니다. 그중 비슷한 적하수오와 나도하수오의.. 2009. 6. 30.
여로는 색깔이 다양하죠 그중 흰여로입니다. 앞에 '흰여로' 뒤에 '여로' 그리고 '솔나리'와 '일월비비추'가 같이 피어난 모습입니다. 2009. 6. 30.
고산의 희귀식물 '등대시호' 산형과 '등대시호'입니다. 특정 장소에서 매우 드물게 볼 수 있는 고산 야생화랍니다. 2009. 6. 30.
고산에 피는 분홍빛 백합 '솔나리' 고산에 피어나는 백합과 '솔나리'입니다. 잎이 마치 솔잎 처럼 생겼다고 해서 솔나리인데요 현재 보호야생식물로 지정되어 있답니다. 전국적으로 자생지는 좀 넓은편이지만 개체수는 그리 많지가 않답니다. 솔나리는 분홍빛의 아주 아름다운 야생화지요 2009. 6. 30.
구름속에 피는꽃 '구름체꽃' 산토끼꽃과 '구름체꽃'입니다. 이름 그대로 구름속에서 피어나는 솔체꽃이라는 뜻인데요 솔체꽃은 고산에 피지 않고 얕으막한 야산의 구릉지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주로 두종류 모두 초지에 자랍니다. 구름체꽃은 고산의 높은곳에서 키가 작게 자라며 솔체꽃은 키가 매우 크며 , 고산보다 얕은산을 .. 2009.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