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여름525

늦여름 피어나는 설악산 대표야생화 '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입니다. 꽃잎처럼 보이는 흰부분은 실상 꽃잎이 아니고 꽃받침이랍니다. 다들 꽃잎으로 착각하지만 정작 꽃잎은 없답니다. 국내에서는 설악산에서만 볼 수 있는 유일한 야생화랍니다. 2009. 7. 7.
우리나라 대표야생화 '금강초롱' 초롱꽃과 '금강초롱'입니다. 우리나라 특산식물로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간판급 야생화라고 해도 이의가 없을 정말 아름다운 야생화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금강산에서 처음 알려져 붙은 이름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이북의 고산지대에서 볼 수 있답니다. 풀숲에서도 피어나지만 때론.. 2009. 7. 7.
잎에서 한약냄새가 물씬나는 '개시호' 산형과 '개시호'입니다. 앞전 소개했던 '시호'와는 많이 다른 모습입니다. 주로 높은산 반양지쪽에 자란답니다. 시호와 같이 잎에서 강한 한약냄새가 나는 종류이기도 하지요 두종류 비교해보면 잎에서 많은 차이가 납니다. <시호> <개시호> 2009. 7. 7.
야생에서 자라는 왕머루 모습 녹색빛이 싱그러운 왕머루의 모습입니다. 실제 우리가 알고 있는 머루는 울릉도에서만 자란답니다. 내륙에서 보는건 대부분 왕머루입니다. 머루를 내륙에서 재배 하는것이지요 2009. 7. 7.
운해와 함께한 범꼬리의 장관 마디풀과 범꼬리입니다. 고산지대의 양지바른 풀숲에 가면 볼 수 있는 대표적 여름 야생화랍니다. 생긴게 마치 범의 꼬리마냥 생겼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지만 실제로 보면 용맹한 봄의 꼬리보다 귀엽고 깜찍한 복실이의 살랑살랑 흔들거리는 꼬리마냥 보입니다. 범꼬리 자라는 군락지에 가면 일대 .. 2009. 7. 6.
꽃개회나무와 털개회나무 구분하기 <꽃개회나무> 물푸레나무과 정향나무속(Syringa)의 대표적인 식물로는 털개회나무(정향나무), 꽃개회나무 그리고 개회나무 세종류가 있습니다. 이외에도 정향나무와 수수꽃다리를 구분하는데 사실 저는 어느것을 보고 이 두종류를 구분하는지 잘모르겠습니다. 실제 수수꽃다리를 본.. 2009. 7. 3.
타래처럼 배배꼬인 타래난초 마치 실타래 처럼 꼬였다고 해서 타래난초랍니다. 2009. 7. 3.
희귀한 양치식물 고란초 고란초과 '고란초'입니다. 드물게 볼 수 있는 희귀식물인데요 양치식물 고사리목의 상록성 다년생 식물이랍니다. 산의 그늘진 바위틈이나 낭떠러지 또는 벼랑에 붙어 자라는데요 습기가 있고 물기가 있는 바위틈이라야 자란답니다. 부여의 고란사라는 사찰의 인근 바위틈속에서 처음 발견되어 고란.. 2009. 7. 3.
큰구와꼬리풀이지만 정작 구와꼬리풀에 비해 소형 큰구와꼬리풀이지만 정작 구와꼬리풀에 비해 소형 잎의 열편이 깊게 갈라지는게 특징 2009. 7. 2.
최근에 발표된 부산꼬리풀 배로니카 부산네시스의 학명을 가진 신종입니다, 부산 바닷가에서 매우 드물게 볼 수 있는 종류인데요 이영노 박사께서 직접 오셔서 살펴보고 신종으로 분류하신 종류입니다. 그런데 구와꼬리풀을 해안가에 심으면 혹 저런식으로 자라지 않을까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2009. 7. 2.
구와꼬리풀 자세히 들여다보기 구와꼬리풀은 경북이남 지방에서는 드물지 않게 볼수있습니다. 주로 건조한 바위틈이나 푸석한 토질을 좋아하는데요 일본인 식물학자 나카이가 대구 달성에서 처음 발견하여 신종으로 분류한 종류입니다. 구와는 국화의 북한식 표현이랍니다. 2009. 7. 2.
향이 아주 좋은 허브식물 순비기나무 마편초과 '순비기나무'입니다. 향이 아주 좋은 바닷가 식물이랍니다. 2009.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