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여름525

산쥐손이풀 쥐손이풀은 산아래 풀밭 등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종류입니다. 뿌리를 캐면 쥐의 손 같이 생겼다고 해서 쥐손이풀이지요 그 중 높은 산에서 자라는 '산쥐손이풀'입니다. 다소 드물 게 볼 수 있는 종류랍니다. 2012. 8. 2.
분홍빛이 나는 흰여로 여로의 꽃 색은 자주색입니다. 흰여로는 이름 그대로 흰색이구요 때론 저렇게 흰여로에 분홍색이 나타나기도 한답니다. 2012. 8. 2.
부산꼬리풀 부산꼬리풀입니다. 이영노 박사께서 명명한 종류입니다. 아직 정식으로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구와꼬리풀과 달리 잎이 두껍고, 바람의 영향 탓인지 누워서 자란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꽃은 한꺼번에 다 피지는 않구요 아래 부터 점차로 피어나 밑에서 지면 윗.. 2012. 8. 2.
구와꼬리풀 구와꼬리풀은 '국화'의 북한 말입니다. 즉 국화 잎을 닮았다는 뜻이랍니다. 구와꼬리풀은 드물 게 볼 수 있는 야생화입니다. 큰구와꼬리풀은 이보다 잎이 더욱더 깊게 패이는 게 특징입니다. 큰구와꼬리풀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http://blog.daum.net/_blog/hdn/ArticleContentsView.do?blogid=03j7Q&articleno=73.. 2012. 8. 2.
큰구와꼬리풀 '큰구와꼬리풀'입니다 구와꼬리풀 보다 더욱 깊게 갈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구와꼬리풀은 북한 말로 '국화'라는 말입니다. 잎이 국화 잎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몇 해 전 찍은 사진들입니다. 구와꼬리풀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http://blog.daum.net/_blog/hdn/ArticleContentsView.do?blog.. 2012. 8. 2.
가야산에 본 둥근산꼬리풀 둥근산꼬리풀입니다. 이 맘 때가 되면 산야에서 많은 종류의 꼬리풀 족속들을 보게됩니다. 산꼬리풀.꼬리풀.긴산꼬리풀.넓은잎꼬리풀 등등 구분하기도 사실 쉽지가 않지요 하지만 그 중에서 둥근산꼬리풀은 그런데로 좀 구분이 쉬운 종류가 아닌가 싶습니다. 가야산 정상부에 이르면 둥.. 2012. 8. 2.
미친존재감 개회향 산형과 '개회향'입니다. 개회향을 보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고산지대의 바위틈을 잘 찾아봐야 볼 수 있으니 말입니다. 또는 구실사리가 잘 발달한 저런 바위에서 드물게 볼 수 있답니다. 꽃은 매우 작은 게 특징입니다. 물론 키가 작은 꽃이니 꽃도 당연 작겠죠 고산의 바위틈 속에 저렇게.. 2012. 8. 1.
네귀쓴풀 용담과 '네귀쓴풀'입니다. 아마도 용담과 식물 중에서는 가장 작고 앙증맞은 종류일겁니다. 쓴풀 중에서도 가장 먼저 피어나며, 고산에서만 자라는 종류입니다. 이름답게 네장의 꽃잎이 핍니다. 네귀쓴풀은 고산에 올라야만 볼 수 있는 야생화죠 키가 크면 30cm 정도 자란다고 되어있지만 .. 2012. 8. 1.
호랑나비가 붙은 개쑥부쟁이 "구절초가 여름에 피다니 ?" 하면서 대부분 호들갑을 떨지만 사실 개쑥부쟁이입니다. 개쑥부쟁이는 지금부터 피기 시작해서 늦가을 까지 피어납니다. 사실 개쑥부쟁이는 크게 계절적 영향을 받는 종류는 아니랍니다. 2012. 8. 1.
두메잔대 높은 고산의 풀밭이나 음지에 자라는 두메잔대입니다. '가야산잔대 ' 개인적으로 두메잔대하곤 구분하기가 쉽지가 않네요 아래 사진은 대청봉에서 찍은 두메잔대입니다. 대청봉 두메잔대입니다. 2012. 8. 1.
두메잔대/가야산잔대 가야산 일대에서 자라는 두메잔대입니다. 가야산에 오르면 적어도 두 종류의 잔대를 보게 될 겁니다. 그 중 하나가 가야산잔대 그리고 두메잔대입니다. 잔대의 특징 중 하나가 돌려나기 인데요 그중 3장의 잎이 돌려나기 하는 특징을 가진 두메잔대입니다. 풀숲이 아닌 바위가 많은 너덜.. 2012. 8. 1.
고산 바위틈 속의 억척둥이 난장이바위솔 난장이바위솔의 생명력은 참으로 대단합니다. 바위채송화와 더불어 다육식물이기에 아마도 이러한 극한 환경에서 생존이 가능한지 싶습니다. 햇볕이 강한 양지쪽은 줄기에 갈색이 강하고, 음지형은 녹색으로 나타납니다. 뭐 다 그런 건 아니고 대부분 그렇더군요 난장이바위솔을 찾는 .. 2012.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