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식물26

지리산 멸종위기식물 복주머니란 동영상 2024. 5. 27.
너무 이쁜 멸종위기식물 복주머니란 멸종위기야생식물 2급 보호종에 해당하는복주머니란입니다. 원래 국명은 개불알꽃이었지만지금은 복주머니란하고 같이 사용합니다.    보다시피 매우 아름다운 야생화라 관상용 가치로 모두 훼손되어더이상 야생에서는 보기가 매우 힘들게 된 야생화죠. 드물게 산야에 피기는 하지만항상 위태위태합니다. 공생균과 함께 살아가기 때문에 식물체만 캐어가서 심어 놓으면얼마 못 가 죽게 됩니다. 그냥 그자리에 두고두고 보면 번식이 아주 잘되는 이쁜 야생화랍니다. 2024. 5. 27.
멸종위기식물 으름난초 동영상 2023. 8. 16.
희귀식물 흰산오이풀 신불산 고산지대 흰산오이풀을 우연찮게 발견. 인터넷 상 아무리 뒤져도 흰산이풀에 대한 기록이 거의 전무하다. 2006년경 문순화 씨와 현진오 박사에 의해 지리산 세석에서 처음 발견되었다는 글만 있을 뿐 자료는 없다. 드물게 흰가는오이풀이나 백두산에 자라는 큰오이풀이 나올뿐 흰색으로 피는 산오이풀 자료는 거의 없는 희귀 산오이풀이다. 2022. 9. 27.
희귀식물 설앵초 희귀식물 설앵초입니다. 설앵초 자생지는 한라산, 영남알프스, 지리산 등지로 극히 제한된 자생지에서 자라고 있는 희귀식물이랍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엔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개체수가 그리 많지 않는 보호해야할 야생화입니다. 한때 신불산 단조늪지에 정말 많이 서식했고 수북하 게 자라던 개체들도 많았지만 모두 산채로 훼손되어 이젠 그런 개체는 거의 없고 드문드문 자랄 뿐입니다. 절대 훼손하면 안되고 야생에서만 봐야할 소중하고 귀한 야생화랍니다. 기후변화와 훼손으로 인해 점차로 사라져 가는 설앵초입니다. 2021. 4. 30.
개회향 고산지대 암벽에 붙어 자라는 개회향입니다. 희귀식물인 개회향과 달리 회향은 귀화식물입니다. 약재로 많이 이용하며 열매와 잎에서 향이 아주 강하게 난답니다. 그래서 간장이나 물고기에 이 식물을 넣으면 비린내와 잡내를 잡아 주기 때문에 향신료로 널리 사용했습니다. 본래의 냄새대로 돌려 준다해서 회향입니다. 개회향은 고산지대 암벽에서나 볼 수 있는 희귀식물이며 회향과 달리 식물체에서 향이 나지 않습니다. 코스모스 잎처럼 생긴 개회향은 고산지대의 암벽에 붙어 자라기 때문에 보기가 매우 드물답니다. 회향과 잎만 비슷하지 사실 꽃이나 생육 환경 자체는 완전 다르답니다. 2020. 8. 12.
여우꼬리풀 고산지대 암벽에서 자라는 희귀식물 여우꼬리풀입니다. 꽃은 아주 작죠 꽃이 지고 열매를 맺은 상태입니다. 2020. 8. 12.
산림청 지정 희귀및멸종위기식물 목록 ♣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 산림청 지정 ♣ 일련번호 식물 이름 보존순위 일련번호 식물이름 보존순위 일련번호 식물 이름 보존순위 1 솔잎난 8 35 날개하늘나리 65 69 천마 9 2 줄석송 172 36 말나리 159 70 사철란 85 3 물부추 21 37 섬말나리 34 71 무엽란 84 4 나도고사리삼 103 38 큰솔나리 1.. 2010. 6. 9.
고산에서 보는 초롱꽃 '도라지모싯대' 산림청 지정 희귀및멸종위기식물이기도 합니다. 초롱꽃과 '도라지모싯대'입니다. 모싯대와 달리 사진처럼 일렬로 꽃이 나란히 배열하는 특성이 있답니다. > 2009. 8. 11.
고산지대에서 드물게 보는 '석송' 지금껏 도감상에서 봤던 석송科 '석송'을 처음으로 보았습니다. 지리산의 아주 험한 오지의 계곡을 오르다가 딱 봤는데요 관상용 식물 기르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최고의 재료로 보여질 정도로 길게 이어진 모양새는 그자체로 하나의 작품이였습니다. 아마 그때문에 줄석송이 더욱더 .. 2009. 8. 10.
[일본 북알프스 야생화] 일본의 물매화 ' 우메 바찌소우' 한국의 물매화는 단 한종뿐입니다. 그런데 일본에서는 물매화 종류가 4종이나 되더군요 그중 고산지대에 자라는 '우메 바찌 소우'입니다. 한국의 물매화와 가장 닮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북알프스의 물매화는 생태 환경도 많이 달랐고 키도 많이 크고 뭉쳐서 자라는 형태가 한국의 물매화.. 2009. 7. 2.
고산의 희귀식물 '등대시호' 산형과 '등대시호'입니다. 특정 장소에서 매우 드물게 볼 수 있는 고산 야생화랍니다. 2009.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