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1379 요강처럼 생겼다고 해서 '요강나물' 강원도 등지에서 드물게 볼 수있는 미나리아재비과 '요강나물'입니다. 선종덩굴이라 하기도 한답니다. 2009. 7. 7. 바닷가에 사셨던분 상동나무를 아시나요 갈매나무과 상동나무입니다. Sageretia theezans 주로 남녁의 바닷가의 산지에 자라는 반상록성 관목입니다 바람이 오다가도 막혀서 못 뚫고 나갈정도로 촘촘하여 방풍림으로 쓰기에 적합한 종류로 보입니다. 열매는 빨간색에서 검정색으로 익어갑니다. 꽃은 가을에 피지만 열매는 5월경 익는답니다. 잎은.. 2009. 7. 7. 보기 드문 나무 이나무가 '이나무'입니다. 이나무과 '이나무'입니다. 드물게 볼 수 있는 나무인데요 암꽃과 수꽃이 따로 따로 피어나는 암수 딴그루입니다. 위가 수꽃 아래가 암꽃입니다. 이건 묵은 열매 모습입니다. 이나무라 불리는것은 바로 줄기 곳곳에 이 모양 같은 돌기가 돋아나 있기 때문에 이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답니다. 2009. 7. 7. 녹나무과 '센달나무'의 밋밋한 꽃 녹나무과 '센달나무'의 꽃입니다. 매우 작아서 촬영하는데 고생했답니다. 생달나무는 잎에서 향이나지만 센달나무는 향이 나지 않는답니다. 2009. 7. 7. 향기가 너무 좋은 '생달나무' 녹나무과 '생달나무'입니다. 비슷한 센달나무 하고는 잎과 꽃에서 차이가 납니다. 센달나무는 향이 나지 않지요 하지만 생달나무는 방향성 식물입니다. 잎을 따서 비빈다음 코에 대면 좋은 향기를 내내 맡을 수 있답니다. 요즘은 정원수로 많이 활용하는데요 상록성이라 겨울에도 잎이 내내 푸르기 때.. 2009. 7. 7. 잎이 융단처럼 보드라운 '새비나무' 마편초과 '새비나무'입니다. 잎이 얼마나 부드러우면 마치 융단이나 울을 만지는듯한 느낌을 가질 정도랍니다. 섬에서 자라는 종류인데요 기회가 된다면 꼭 잎을 만져보십시요 2009. 7. 7. 백하수오라 불리는 큰조롱 박주가릿과 '큰조롱'입니다. 약명에서 백하수오라고 부른답니다. 하지만 백하수오와 적하수오는 하수오의 다른 품종들이지요 2009. 7. 7. 바닷가에서 자라는 장구채 모양으로 생긴 '갯장구채' 석죽과의 장구채라는 식물은 꽃을 피우는 통 모양이 마치 장구처럼 생겼다고해서 붙혀진 이름입니다. 그중 바닷가에서 자생하는 갯장구채입니다. 2009. 7. 7. 팔랑거리는 나비를 닮은 야생화 '긴잎나비나물' 콩과 '긴잎나비나물'입니다. 마치 팔랑거리는 나비의 모습을 닮은듯 합니다. 잎모양을 잘보세요 2009. 7. 7. 다람쥐의 앙증맞은 꼬리를 닮은 '다람쥐꼬리' 석송과 '다람쥐꼬리'입니다. 몇년전 포자를 달고있는 다람쥐꼬리를 보곤 오랜만에 만나는 반가운 녀석이였습니다.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랍니다. 비슷한 뱀톱이라는 식물도 있는데 뱀톱은 잎에 거치(톱니)가 있어 구분된답니다. 2009. 7. 7. 여우꼬리 처럼 생겼다고 해서 '여우꼬리풀' 백합과 '여우꼬리풀'입니다. 특정지역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야생화랍니다. 여우꼬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여우꼬리풀이랍니다. 2009. 7. 7. 호랑이 가시는 없지만 이름은 '호자덩굴' 꼭두서니과 '호자덩굴'입니다. 호자나무라고 있습니다. 이름그대로 호랑이의 발톱 같은 가시가 있다고 해서 호자나무인데요 바로 그 호자나무의 꽃과 닮았다고 해서 호자덩굴이랍니다. 호자덩굴은 매우 작은 식물이며 덩굴로 자라는 덩굴나무랍니다. 2009. 7. 7. 이전 1 ··· 94 95 96 97 98 99 100 ··· 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