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1379 부생성 난초 '천마' 난초과 '천마'의 모습입니다. 부생성 난초랍니다. 잎은 퇴화되어 없답니다. 광합성은 못하지만 열매를 맺고 씨앗을 다는 식물이랍니다. 뿌리는 꽃을 피울때쯤 되면 삭아 없어지기 때문에 꽃을 피운 개체를 캐면 안되겠습니다. 흔히 이쁜꽃을 피우는 난초들만 생각하지만 사실 부생성 난초가 거의 절반.. 2009. 7. 9. 고광나무 열매 모습 범의귀과 '고광나무'의 모습입니다. 흔히 보는 고광나무들은 얇은잎고광나무라는 말도 있더군요 2009. 7. 9. 신부의 손에 든 부케를 닮았을까요 '부게꽃나무' 단풍나무과 부게꽃나무입니다. 이름에서 흔히 신부의 손에 들린 부케를 연상하겠지만 그와는 상관없습니다. 부게의 뜻이 뭔지 저도 좀 찾고 있습니다. 부게는 순수 우리말로 제주도의 생선을 운반하는 긴 망태를 일컫는 경우도 있든데 부게가 이뜻의 붙임인지는 잘모르겠습니다. 일본말로 オガラバ.. 2009. 7. 9. 보호야생식물 가시오갈피 이건 키우는 가시오갈피의 모습입니다. 줄기 부분에 가시가 아주 많이 달려있답니다. 야생에서는 보기가 매우 드물죠 보호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어 채취 하면 자연환경보전법상 적용되는 벌금이 2천만원이랍니다. 저렇케 많이 키우니까 재배하는걸 이용해야 겠습니다. 야생에서는 멸종위기니.. 2009. 7. 9. 지금쯤 괴불나무의 열매 모습 ...딱 거시기함 이름 그대로 개의 불알처럼 생겼다고 해서 개불이 괴불로 발음상 바뀐건데요 저렇케 열매가 붙어 있어 이름이 지어진 경우랍니다. 2009. 7. 9. 꽃이 붉은 홍괴불나무 인동과 괴불나무속 식물중 가장 드물게 볼 수 있는 '홍괴불나무'입니다. 2009. 7. 9. 골담초는 중국산 이게 우리 토종 '좀골담초' 콩과 '좀골담초'입니다. 흔히 골담초를 많이 보지만 그건 중국에서 들여운 식물입니다. 좀골담초는 골담초에 비해 꽃이나 잎 모두 작지요 이게 바로 우리 토종이랍니다. 2009. 7. 9. 무시무시한 괴물들이 주렁주렁 달린 '넓은잎노랑투구꽃' 미나리아재비과 초오속 '넓은잎노랑투구꽃'입니다 일반 초오속 식물에 비해 잎이 아주 넓은데요 꽃차례의 특징도 그렇치만 개화시기도 참 빠르더군요 넓은잎노랑투구꽃은 강원도 일부에서 드물게 볼 수 있답니다. 잎이 매우 큽니다. 2009. 7. 9. 매의 가시 처럼 생겼다고해서 매발톱나무 매자나무과 '매발톱나무'입니다. 이름 그대로 무시무시한 매의 발톱같은 가시들이 돋아나 있다고 해서 매발톱나무랍니다. 비슷한 매자나무는 한국특산식물로서 다소 드물게 볼 수 있는데요 열매가 매발톱나무는 타원형이지만 매자나무는 둥글답니다. 매발톱나무는 사진과 같이 줄기에서 달리지만 .. 2009. 7. 9. 노란 장화 같은 꽃을 가진 '활량나물' 꽃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꼭 노란색 장화같은 모습이랍니다. 요즘 피어나는 콩과 '활량나물'입니다. 2009. 7. 9. 잠자리같이 생긴 야생난초 '넓은잎잠자리란' 난초과 '넓은잎잠자리란'입니다.사실 국명보다 속명이 더 많이 알려진 종류입니다. 넓은잎나도잠자리란 또는 큰나도잠자리란이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넓은 초지에서 자라기도 하지만 깊은 산중 습기진곳에서도 자라기도 합니다. 원색 한국식물도감(이영노)에는 넓은잎잠자리란,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9. 7. 9. 개들쭉나무라고 하는 '댕댕이나무' 인동과 댕댕이나무입니다. 고산지대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나무입니다. 댕댕이덩굴이라고 초지에 자라는 덩굴이 있는데요 그 열매하고 사실 많이 다릅니다. 이름만 닮았을뿐이죠 들쭉나무 열매하고 닮아 개들쭉나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만 이름자에 '개'자가 붙은 이유는 그 열매가 절대 달지 않기 .. 2009. 7. 9. 이전 1 ··· 91 92 93 94 95 96 97 ··· 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