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여름525 빛을 받으면 눈빛처럼 빛나는 '눈빛승마' 미나리아재비과 '눈빛승마'입니다. '승마'라는 종류가 있는데 그중 가장 흔한 종류중 하나입니다. 고산지대에 반음지쪽에 자랍니다. 나물로 먹는 눈개승마에 비해 이건 먹지 못하는 종류랍니다. 2010. 7. 1. 고산지대에서만 볼 수 있는 '흰참꽃나무' 흰참꽃나무는 진달래과의 고산식물로서 가야산.덕유산등지의 능선이나 바위틈속에서 자라나는 키작은 관목입니다. 능선에 가면 아주 흔하지만 전체적으로 다양하게 분포하는 식물이 아닌탓에 산림청에서는 희귀및멸종위기식물 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나무이기도 합니다. 진달래과 식물중 아마도 가.. 2010. 6. 22. 참으로 억척스러운 야생화 '돌양지꽃' 참으로 흔한 야생화 그러나 참으로 억척스럽게 살아남는 야생화이기도 합니다. 단 한줌의 흙만 있다면 천애단애의 바위틈속도 마다하지 않는 눈물겨운 삶의 승부사 돌양지꽃 아! 이게 정말 야생화구나라는 느낌을 강하게 받게 해주는 야생화가 바로 돌양지꽃이 아닐까 싶습니다. 2010. 6. 21. 배롱나무 이후부터 가을/겨울로 넘어갑니다. 배롱나무 이후부터 가을/겨울로 넘어갑니다. 2009. 9. 4. 흔히 백일홍이라고 불리는 '배롱나무' 부처꽃과의 중국원산 '배롱나무'입니다. 부처꽃과중 특이하게도 낙엽교목인 종류입니다. 아주 더운 한여름철 오랫동안 피어난다고 해서 백일홍이라고도 하지만 정작 백일홍은 한해살이 초본이랍니다. 달리 나무 백일홍이라 해서 목백일홍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정식 명칭은 '배롱나무'입니다. 100일.. 2009. 8. 27. 붉노랑상사화 수선화과 상사화속 '붉노랑상사화'입니다. 국내에 자생하는 상사화속 식물은 총 6종입니다. 제주상사화.흰상사화.상사화.붉노랑상사화.위도상사화.진노랑상사화인데요 붉노랑상사화라고 해서 혹 꽃색이 붉지 않나 생각하겠지만 실상 꽃색이 붉은색이 아닙니다. 바로 암술의 꽃밥이 붉.. 2009. 8. 27. 전남에서 매우 드물게 보는 '진노랑상사화' 전남 일대에서만 자생하는 수선화과 '진노랑상사화'입니다. 현재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 2급에 해당하는 야생화입니다. Lycoris chinensis var. sinuolata 아래는 참고사항 이상태 교수(성균관대)와 함께 상사화속 식물분류에 몰두해온 김무열 교수(전북대)는 “상사화속 식물 8가지를 비교 연구.. 2009. 8. 27. 찔레꽃은 붉게 피지 않는답니다. <찔레꽃>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나라 내고향 언덕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자주고름 입에 물고 눈물 흘리며 이별가를 불러주던 못잊을 사람아 -가수 백난아-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 나라 내 고향, 언덕 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가수 백난아가 부른 한국의 대표 트로트곡 '찔레꽃.. 2009. 8. 24. 노루오줌 냄새는 어디서 날까요 ? 범의귀과 '노루오줌'입니다. 계곡에서 찍었더니 흔들려 버렸네요 노루오줌은 꽃자체에서 냄새가 나는게 아니고 약재로 사용하기 위해 뿌리를 캐어 말려 놓으면 냄새가 나는데 그게 노루의 오줌 냄새와 같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랍니다. 약명으로 낙신부라 부릅니다. 2009. 8. 18. 고산지대에서 보는 초롱꽃 '모싯대' 초롱꽃과 '모싯대'입니다. 가지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 꽃이 조롱조롱 달립니다. 모싯대는 원추화서(원뿔모양꽃차례)로서 일렬로 나란히 배열해서 꽃을 피우는 도라지모싯대와 구분된답니다. 2009. 8. 18. 고산지대에서 보는 '말나리' 백합과 '말나리'입니다. 유사종에 비해 키가 크거나 할때 흔히 말자를 많이 붙힌답니다. 그런데 말나리는 도대체 어떤 종류를 빗대어 말자를 붙혔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 큰종류는 아니랍니다. 고산지대의 반음지 숲속에 많이 자랍니다. 2009. 8. 18. 정령치에서 발견되었다고 해서 '정영엉겅퀴' 일본인 식물학자 nakai에의해 정령치 일대에서 발견되어 보고된 정영엉겅퀴입니다. 한국 특산식물이랍니다. 구례 일대 그리고 지리산 일대에서는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는 야생화입니다. 지리산이 아니라도 타지역에서도 많이 자란답니다. 2009. 8. 18.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