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8

개불알같이 생겼다고 해서 산괴불나무 인동과 ' 산괴불나무'입니다. 괴불나무의 이름 유래는 열매가 두개가 붙어 있는 모양새가 마치 개의 불알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인데요 이름은 민망하지만 드물게 볼 수 있는 종류랍니다. 열매 두개가 붙지 않는 종류를 각시괴불나무라 한답니다. 이외에도 개불알꽃이라고도 있는데요 이름에.. 2009. 6. 29.
이름도 특이한 가는장구채 석죽과 '가는장구채'입니다. 요즘 산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종류랍니다. 장구채라는 식물 종류중 가늘고 길다고 해서 가는장구채랍니다. 2009. 6. 29.
노루오줌은 왜 노루오줌일까요 ? 범의귀과 '노루오줌의' 색깔은 다양합니다. 붉고 희고 또는 분홍빛등 다양하게 나옵니다, 노루오줌이라 하면 약재로 쓰기위해 말려놓은 뿌리에서 마치 노루의 오줌냄새와 비슷한 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랍니다. 2009. 6. 29.
순백색의 아름다움 '산꿩의다리' 꿩의다리와 달리 키가작고 순백색의 꽃을 피우는 '산꿩의다리'입니다. 주로 수풀속 반그늘진곳에 많이 피어납니다. 삼지구엽초하고 헷갈려 수난을 겪기도 합니다만 독초랍니다. 2009. 6. 29.
진짜 꿩의다리 처럼 생긴 야생화 '꿩의다리'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입니다. 잎을 꺽어 뒤로 놓으면 영판 꿩의다리처럼 생겼답니다. 그래서 이름이 꿩의다리지요 키가 훤칠하게 큰종류입니다. 하지만 산꿩의다리나 자주꿩의다리는 키가 작답니다. 2009. 6. 29.
습지에 피는 아름다운 야생화 '꽃창포' 붓꽃과 '꽃창포'입니다. 산중 습지에서 피어나는 종류랍니다. '붓꽃'과는 또다른 종류입니다. 그리고 봄에 노란색 꽃이 피는건 '노랑꽃창포'로서 인워적으로 키우는 원예품종이지요 원예종과 야생종의 품격은 역시 크게 납니다. 2009. 6. 29.
멸종위기식물 섬현삼 현삼과 '섬현삼'입니다. 울릉도에서 자라는 종류인데요 한때 멸종위기까지 내몰렸으나 최근 많이 복원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멸종위기식물이랍니다. 2009. 6. 29.
섬에 자란다고해서 섬패랭이 석죽과 '섬패랭이'입니다. 울릉도에서 자란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랍니다 2009. 6. 29.
한때 멸종했다고 알려진 섬시호 산형과 '섬시호'입니다. 한때 멸종 됐다고 알려졌지만 극소수의 섬시호가 자생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지요 지금은 많이 번식시킨줄 압니다. 2009. 6. 29.
천적이 없어 가시가 없어진 섬나무딸기 울릉도에 자라는 '섬나무딸기'입니다. 천적이 없어 산딸기 나무지만 가시가 없어진 경우이지요 열매맛은 별로 없더군요 가시가 없는게 특징입니다. 2009. 6. 29.
멸종위기종 섬개야광나무 멸종위기종 보호야생식물 1급에 해당하는 종류지요 장미과 '섬개야광나무'입니다. 2009. 6. 29.
요즘 많이 피는 모감주나무 무환자나무과 '모감주나무'입니다. 요즘 흔히 정원수로 많이 심는 나무이기도 합니다. 2009.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