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 야생화61

놓칠 수 없는 야생화 '미야마 꼬우조리나' 일본 특산식물입니다. '미야마 꼬우조리나'입니다. 씀바귀 종류를 일본말로 '꼬우조리나'라고 부릅니다,. 고산씀바귀라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우연히 스쳐 지나가면서 찍었던 야생화랍니다. 일본 특산식물이라 한국에서 볼 수 없는 야생화지요 2009. 8. 25.
미역취가 아닙니다 '꼬가에 기꾸' 저는 미역취라고 생각했는데요 미역취가 아니라 고산에서 자라는 황금국이라 불리는 '꼬가에 기꾸'입니다. 의외로 드물게 볼 수 있는 종류인데요 개화기가 거의 끝나 끝물을 찍었는데요 처음에는 미역취인줄 알고 사실 잘 찍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도감을 뒤져보니 '꼬가에 기꾸'라는 고산지대에 피.. 2009. 8. 25.
향기가 너무 뛰어났던 '이부끼 쟈꼬우 소우' 국내에서 자라는 섬백리향과 닮았다고 생각했는데 섬백리향과는 다른종입니다. '이부끼 쟈꼬우 소우'라고 합니다. 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 섬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이부끼 쟈꼬우 소우 Thymus serpyllum ssp.quinquecostatus f.ibukiensis 2009. 8. 25.
유일하게 본 제비꽃 '다까에 스미레' 일본 특산식물 '다까에 스미레'입니다. 제비꽃 종류를 스미레라고 하지요 아마도 제비꽃중 가장 늦게 개화하는 종류일듯 합니다. 국내에서 자라는 제비꽃중 '장백제비꽃'이 그중 가장 고산지대에 자라는 종류랍니다. 하지만 다까에 스미레는 장백제비꽃하고는 다른종입니다. 참고로 설악산과 백두산.. 2009. 8. 25.
엄청난 황기 군락 '이와 오우기' 황기와 닮았죠 우리나라 식으로 보면 '한라황기' 종류하고 닮았는데요 황기는 뿌리를 약재로 쓰는 종류이기도 합니다. '이와 오우기'라고 하는데요 전체적으로 골구루 분포 한게 아니고 특정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었습니다. 앞에 흰꽃은 '모미샤 가라마쯔'입니다. 그뒤로 이와오우기가 군락.. 2009. 8. 11.
도감 뒤지면서 깜짝 놀랐던 '베리바나 이찌고' 이꽃이 어떤 종류인가 하고 오랫동안 찾았습니다. 아직까지 찾아 내지 못하고 있었는데요 우연찮게 산딸기 종류를 찾아내면서 이꽃도 같이 찾을 수 있었습니다. 바로 산딸기 종류인 홍화매(紅花每)라 불리는 '베리바나 이찌고' 입니다. 한국에서 저런 꽃을 피우는 종류가 산딸기라는건 매우 이채롭기.. 2009. 8. 11.
오매불망 찾았던 연령초 '엔레이 소우' 한국말 연령초입니다. 일본말도 연령초(延齡草)라 부릅니다. 하지만 한국의 연령초(延齡草)와는 다릅니다. 이름만 같을 뿐이죠 연령초는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풀'이라는 뜻으로서 이 야생화의 약효를 드높혀 풀이한 것이지만 실제 효과는 미지수죠 '엔레이 소우'라 불리는 일본의 연령초는 꽃받침이.. 2009. 7. 30.
하이마쯔와 살아가는 만병초 '하쿠산 샤꾸나게' 엄청난 만병초의 군락이였습니다. 하이마쯔와 그렇케 살아가는데요 개화기는 6-7월인데 우리가 갔을때는 모두 개화기가 끝난 상태였습니다. 한국의 만병초와 같은종입니다. 萬病草, Rhododendron brachycarpum 만가지 병을 고친다는 뜻의 만병초인데요 실제 뻥이 심하게 붙은 명칭이기도 하죠 명칭에 하쿠산.. 2009. 7. 30.
눈잣나무의 거대한 물결 '하이마쯔' 북알프스 능선은 거의 대부분 눈잣나무가 덮고 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한국에서는 설악산 대청봉 일대에 자라는 종류인데요 일본에서는 능선상 거의 하이마쯔가 다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이마쯔가 자람으로서 수많은 지표식물이 한데 어울려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산사태 .. 2009. 7. 30.
일본에서 본 범꼬리 '이부끼 도라 노 오' イブキトラノオ(伊吹虎の尾) 한국의 고산지대에서 흔히 보는 범꼬리와는 다른 종류입니다. 일본의 범꼬리가 잎이 더욱더 넓고 꽃차례도 복실하고 또 키도 크고 날씬합니다. 한국이나 일본이나 이런 종류를 모두 범꼬리라고 부르는건 같은데요 아무래도 우리 국명이 일본의 국명을 많이 따라하다 보.. 2009. 7. 30.
[일본 북알프스 야생화] 복스러운 복실이꼬리 '사라시나 쇼우마' サラシナショウマ (晒菜升麻) 아고산지대의 낙엽수림대에 자라는 다년생 식물입니다. 탐스러운 복실이 꼬리 마냥 그렇케 생겼는데요 한국에서는 '촛대승마'와 비슷하지만 그보다 더욱더 꽃술이 복스러운 종류입니다. 산지 연못 근처에서 많이 본 종류입니다. 2009. 7. 30.
[일본 북알프스 야생화] 귀하게 본 고산의 진달래 '미야마 호 쯔쯔지' 개화기가 지나 유일하게 이 한장 찍었습니다. 운좋게 찍은 사진이지요 바로 고산흰참꽃나무입니다. 한국의 흰참꽃나무하고 많이 닮았습니다만 암술대가 삐쭉하게 휘어져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네요 '미야마 호 쯔쯔지'입니다. 유독식물이며 일본 특산식물이랍니다. つつじ [躑躅] 쯔쯔지는 진달래과 .. 2009.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