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멸종위기식물26

멸종위기식물 땃두릅나무 지리산의 원시성 좋은 골짜기를 산행하면 운 좋게 만날 수 있는 땃두릅나무입니다. 두릅나무 科지만 새순을 식용하는 종류는 아닙니다. 아주 굵은 땃두릅나무도 존재했다고 하지만 지금은 저 정도 크기도 겨우 볼 수 있는 수준입니다. 점차로 사라져가는 우리 자생식물입니다. 2012. 7. 22.
2012년 보호식물 편입 닻꽃 용담과 '닻꽃'입니다. 아주 더울 때 촬영했던 사진인데, 무척이나 더웠던 날로 기억합니다. 용담과 식물들이야 늦여름부터 초가을까지 피어나는데 그중 닻꽃은 여름의 절정에 있을 때 피어난답니다. 2012년 부터 멸종위기야생식물 2급에 해당되는 보호식물입니다. 일찍이 멸종위기의 희귀.. 2012. 7. 16.
2012년 보호식물 편입 날개하늘나리 날개하늘나리입니다. 멸종위기식물 2급에 해당하는 보호식물이랍니다. 최근에 찍은 사진은 아니구요 몇 해 전 찍어둔 자료입니다. 날개하늘나리 보기란 '하늘에 별 따는거' 보다 힘든 '별 달기' 수준이랍니다. 국내 자생 개체는 극히 드물고 인터넷에 게시된 사진은 백두산의 자료가 대부.. 2012. 7. 15.
복주머니란 난초과 개불알꽃입니다. 또는 복주머니란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012. 5. 28.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야생동·식물보호법 시행규칙 환경부령 제393호 일부개정 2011. 01. 21. 별표1 멸종위기야생동·식물[제2조관련] [별표 1] 멸종위기야생동·식물(제2조관련) ────────── 1. 포유류 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Ⅰ급 ┏━━━━┯━━━━━━━━━━━━━━━━━━━━━━━━.. 2012. 5. 14.
멸종위기종 독미나리 희귀식물 독미나리 자생지를 찾아갔습니다. 국내에서는 매우 드물게 볼 수있는 자생지랍니다. 이렇게 울타리를 쳐서 보호하고 있습니다만 누군가 와서 몰래 캐가는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 개체수가 많이 줄었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독미나리를 고라니가 좋아해서 뜯어먹기도 한답니다. .. 2012. 5. 9.
날개달고 날아갈것 같은 '날개하늘나리' 여타 야생에서 보는 날개하늘나리에 비해 때깔도 좀 떨어지고 꽃도 부실합니다. 그래도 이 한개체라도 본게 행운이죠 날개하늘나리는 누가보면 키우는 원예종으로 여길 정도로 색감이 붉고 화려한게 특징입니다. 국내에서는 특정 장소에서 매우 드물게 볼 수 있으며, 백두산에서도 자랍니다. 2011. 7. 6.
지리산에는 흔한 멸종위기종 '자주솜대' 지리산에서는 흔한 멸종위기종 식물인 '자주솜대'입니다. 자주솜대는 지리산 해발 1,500이상 고지에서는 흔하게 자랍니다. 물른 이 지역을 벗어나면 볼 수 없죠 나중에 꽃이 질 때 자주색으로 변한다고 해서 자주솜대입니다. 히어리와 더불어 지리산 깃대종으로 손색 없는 종류죠 2011. 6. 7.
멸종위기식물 '날개하늘나리' 백합과 '날개하늘나리'입니다. 멸종위기식물로서 현재 국내에서는 극히 제한적인 장소에서 몇개체 정도만 자라는 종류랍니다. 남한에서는 멸종위기식물이지만 백두산에서도 볼 수 있는 종류입니다. 이번에 아주 운좋게 만날 수 있었습니다. 몇해전 부터 해마다 이때가 되면 자생지라고 알려진 장소.. 2010. 7. 16.
멸종위기종 히어리의 단풍든 모습 현재 환경부에서 정한 희귀및멸종위기식물 2급에 해당합니다. 우리나라 특산식물로서 꽃은 이른봄에 피어나며 가을에 이렇케 이쁘게 물드는 나무랍니다. 2009. 10. 26.
전남에서 매우 드물게 보는 '진노랑상사화' 전남 일대에서만 자생하는 수선화과 '진노랑상사화'입니다. 현재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 2급에 해당하는 야생화입니다. Lycoris chinensis var. sinuolata 아래는 참고사항 이상태 교수(성균관대)와 함께 상사화속 식물분류에 몰두해온 김무열 교수(전북대)는 “상사화속 식물 8가지를 비교 연구.. 2009. 8. 27.
멸종위기식물의 자생지외 보존 방안 <멸종위기종 돌매화나무> 멸종위기종,보호야생식물,희귀및멸종위기식물 이러한 이름들은 이땅의 사라져가는 우리의 야생화들에게 씌워준 감투들입니다. 요즘은 보호야생식물 1.2급으로 나누어 구분하는데요 그러나 이런 다소 유연한 명칭보다는 '멸종위기 보호야생식물'이라는 명칭이 오히려 .. 2009.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