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1379

오글거리는 냥이의 재롱쇼~ D7000 SCENE 기능 중 파티/실내 기능이 있습니다. 이걸 이용하면 실내에서도 선명하고 뚜렷한 화질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흔들리지 않고 잘 표현되었습니다. 실내에서 인물이나 애완동물 찍을 때 아주 유용합니다. 2012. 8. 28.
민달팽이 짝짖기 장면 민달팽이의 짝짖기 장면입니다. 암갈색도 있지만 붉은색 민달팽이도 있답니다. 색이 변화하는지 아님 원래 저런 색인지 그게 궁금하네요 민달팽이의 치아가 궁금하면 클릭하세요 http://blog.daum.net/_blog/hdn/ArticleContentsView.do?blogid=03j7Q&articleno=7352463&looping=0&longOpen= 2012. 8. 28.
잔나비걸상버섯 원숭이가 쉬고 갈 만큼 넓다고 해서 '잔나비걸상버섯'입니다. 실제 지리산에서 정말 큰 녀석을 본 적도 있는데, 크면 웬만한 아이가 앉을 정도의 크기랍니다. 유균의 모습입니다. 아직 완전히 성장하지 않은 잔나비걸상버섯의 모습입니다. 지리산 잔나비걸상버섯 http://blog.daum.net/_blog/hdn/A.. 2012. 8. 28.
노랑망태버섯 노랑망태버섯입니다. 아침에 피어나 오후가 되면 바로 녹아 없어져 버리는 수명 짧기로 유명한 녀석이죠 참나무 숲 속에선 노랑색이 대나무 숲 속에선 흰색이 피어난답니다. 노란색 치마는 균망(菌罔)입니다. 즉 균으로 된 그물이라는 뜻이지요 균망은 해가 뜨면 바로 녹아버립니다. 암.. 2012. 8. 28.
등검정쌍살벌? 어떤 종류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쌍살벌 종류 같은데 등검정쌍살벌하고 왕바다리하고 비슷하다고 하는데 아시는 분 동정 좀 해주십시요 왕바다리는 앞가슴등판이 밝은노란색 등검정쌍살벌은 짙은 고동색이라고 하네요 2012. 8. 28.
귀여운(?) 누룩뱀 귀여운(????) 누룩뱀의 모습입니다. 옆의 동료가 기겁을 해서 봤더니 바로 이녀석이 슬그머니 몸을 말리기 위해서 바깥으로 나왔던 모양입니다. 밀뱀이라고 흔히 부르기도 하지요 독은 없고 쥐만 잡아먹고 사는 얌전한 녀석들입니다. 특히 비온 다음 날에는 저런 바위틈 속은 조심해야 합.. 2012. 8. 28.
수영하는 장수말벌 수영하는(?) 말벌의 모습입니다. 기력이 쇠해서 그런 건지 물 위에 불시착한 걸로 보입니다. 물 바깥으로 살려보냈습니다. 어떤 종류일까요 ? 덩치나 때깔로 보아 장수말벌로 보이는데...?? 2012. 8. 28.
사마귀 클로즈 업 귀여운(?) 사마귀 모습입니다. 사마귀 머리 모습인데요 구조는 잘모르겠네요 세개의 점은 눈인가요 ? 2012. 8. 28.
새며느리밥풀 새며느리밥풀입니다. 설악산 등지에 가면 이 며느리들이 지천으로 깔려 있습니다. 밥알도 보이지 않으면서 붉은색으로 무장한 무서운 며느리들이죠 그래서인지 구분은 잘됩니다. 2012. 8. 21.
큰개현삼 큰개현삼입니다. 높은 산의 풀 숲에서 볼 수 있습니다. 토현삼은 꽃차례가 덩굴성으로 늘어지며 꽃차례에 잎이 붙는게 특징이죠 토현삼은 좀더 높은 강원도 고산에서 볼 수 있답니다. 현삼은 임도길의 공한지에서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현삼과 큰개현삼은 덩치로 보면 오히려 현삼이 .. 2012. 8. 17.
잎 변이가 다양한 정영엉겅퀴 정영엉겅퀴 군락입니다. 잎을 보면 변이가 다소 심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고려엉겅퀴도 마찬가지인데요 동래엉겅퀴의 경우도 잎의 모양은 아주 다양하게 변한답니다. 잎 모양으론 구분할 수 있는 족속들이 아니랍니다. 흰고려엉겅퀴와 꽃을 비교하면 사실 거의 비슷하죠 엉겅.. 2012. 8. 17.
참바위취 고산의 바위틈에서 자라는 참바위취입니다. 꽃이 안개꽃 마냥 생긴게 특징이랍니다. 들이대는게 귀찮아서 멀찍감치 뒤에서 찍었습니다. 2012. 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