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8

네귀쓴풀 용담과 '네귀쓴풀'입니다. 늦여름에 피어나서 초가을까지 피어납니다. 2009. 6. 22.
다북고추나물 물레나물과 '다북고추나물'입니다. 2004년 지리산의 습지에서 찍은겁니다. 2009. 6. 22.
식물도 아픈척 한다! '엄살식물' 신기해~ 병든 척하는 '엄살 식물'이 발견되었다고 19일 영국 BBC뉴스가 보도했습니다. 언론 보도 및 독일 바이로이트대학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계에 최초로 보고된 '엄살 식물'은 에콰도르의 열대우림 지역에서 발견되었다는데요 바이로이트대학 연구팀은 '칼라디움 스테우드네리폴리움'이라는 식.. 2009. 6. 22.
야생 표고버섯 야생 표고버섯 모습입니다. 2009. 6. 22.
야생 석이버섯 야생 석이버섯 모습입니다. 아주 큰 바위 전체를 완전 뒤덮고 있더군요 그중 일부만 가져왔습니다. 2009. 6. 22.
구와꼬리풀 현삼과 '구와꼬리풀'입니다. 2004년 아주 더운 여름날 땡볕을 무릅쓰고 올라가 촬영한겁니다. 구와는 국화의 북한말이랍니다. 드물게 흰색이 피는 종류도 만났습니다. 그러나 다음해에 이 개체는 다시 원래 색으로 피었답니다. 2009. 6. 22.
두메고들빼기 국화과 '두메고들빼기'입니다. 잎을 보시면 삼각형의 모습이구요 잎자루는 날개모양이며 줄기을 감싸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른 종류 들과는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모습이지요 지금 피는 고들빼기의 특징도 그렇치만 잎만 보면 확연하게 차이가 날것 같습니다. 2009. 6. 22.
토현삼 현삼과 '토현삼'입니다. 흔히 보는 큰개현삼과 달리 고산지대에 드물게 자라며 꽃차례에도 잎이 붙는게 특징입니다. 2009. 6. 22.
넓은잎잠자리란 드물게 볼 수 있는 난초과 '넓은잎잠자리란'입니다. 2009. 6. 22.
구실바위취 강원도 일대에서 볼 수 있는 '구실바위취'입니다. 남녁에서는 볼 수 없는 종류랍니다. 2004년 설악산에서 비올때 찍은겁니다. 2009. 6. 22.
도깨비부채 범의귀과 '도깨비부채'입니다. 꽃이 핀건 노루오줌이랍니다. 2009. 6. 22.
왜솜다리 2004년 설악산에서 처음 본 국화과 '왜솜다리' 모습입니다. 흔히 에델바이스라고 부르는 식물은 우리나라 식물과는 많이 다릅니다. 설악산에는 산솜다리와 솜다리가 드물게 자라는데요 이를 보고 에델바이스라 부르지만 엄연히 틀린말이랍니다. 2004년 여름에 왜솜다리르 처음 봤는데요 이후 왜솜다리.. 2009. 6. 22.